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신장애인 지원주택은 회복에 있어서 필수적인 서비스이다.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인생의 목표와 의미를 추구하기 위해선 안정적인 주거가 사전에 확보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지원주택을 강조하는 정책적 방향이 생기면서 정신장애인 지원주택 사업이 본격적으로 실시되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 정신장애인 지원주택 사업은 초기 단계로서 지원주택의 기본적 원칙과 어긋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이면서도 적절한 실행방안을 찾기 위하여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정신장애인 지원주택 세 사례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실행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가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첫째, 각 사례들은 지원주택의 원칙을 100% 준수하고 있지는 못했지만 이는 대상군의 특성, 지원재정의 요구조건과 같은 현실적인 제약 속에서 발생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와 같은 문제는 사례로 선택된 기관들이 추구하는 지원주택의 철학이라는 측면에서 정당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의 정신장애인 지원주택의 사업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Supported housing for the mentally disabled is an essential service in recovery. This is because a stable residence must be secured in advance in order for the mentally disabled to pursue new goals and meanings in life in the community. Recently, as a policy direction emphasizing supported housing has emerged, the supported housing project for the mentally disabled has been implemented in earnest. However, the supported housing project for the mentally disabled in Korea is in its infancy and shows a pattern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supported housing. In order to find a specific and appropriate implementation plan for this,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cases of support housing for the mentally disabled in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the specific implement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wo things were found. First, although each case did not 100%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supported housing, it was found that this occurred within realistic constraint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and the requirements for support fin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such a problem could be justified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supported housing pursued by the institutions selected as example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proposals were made for the direction of support housing for the mentally disable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