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 연구 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부하 관계가 잡크래프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 연구 배경: 호텔조직의 발전과 생존을 위하여 필요한 잡크래프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선행연구들은 주로 변수들 간의 직접효과를 분석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매개효과분석과 조절효과분석을 결합한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실행하였다. · 연구방법: Mplus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호텔종사원들의 상사-부하관계가 잡크래프팅을 경유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의 크기가 증가하면 상사-부하관계가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절효과). 셋째, 변혁적 리더십이 증가하면 상사-부하관계가 잡크래프팅을 거쳐서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증가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호텔종사원들의 잡크래프팅과 직무만족을 고양시키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필수적이다.


· Research topic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job craf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indirect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on job satisfaction via job crafting was also investigated. · Research background: Higher perception of leader-member exchange increases job crafting and job satisfact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is research introduce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 Research method: Mplus was utilized to analyze moderation,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 Research resul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on job satisfaction through job crafting.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present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enhance the indirect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Organizational leaders should participate in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to learn to use leadership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