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눈치, 놀이성 각각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20-30대 성인 40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결과 적응수행은 지각된 통제감, 눈치, 놀이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지각된 통제감, 눈치 및 지각된 통제감, 놀이성 순으로 적응수행에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눈치, 놀이성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적응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20-30대 성인의 개인 내적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적응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성인을 위한 기업상담 및 기업에서 구성원들의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of air reading and playfulness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402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daptation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control, air reading, and playfulness. Second, the order of perceived control, air reading and perceived control, and playfulness showed influence on adaptive performance. Finally, air reading and playfulnes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on adaptive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internal factors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adaptation.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helpful for corporate counseling for adults who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and developing programs for adaptation of members in compan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