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청소년의 우울이 인터넷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가 완충역할(buffering role)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교사의 지지, 부모의 지지, 또래의 지지로 세분화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방법: 이천시 청소년 857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는 SPSS 2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인터넷 과의존에 우울은 정적 상관관계를, 부모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 교사의 지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우울과 인터넷 과의존의 관계에서 교사의 지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어 두 변인간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완충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지지와 또래의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청소년의 우울과 인터넷 과의존의 관계에서 부모와 또래의 지지는 두 변인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면서 부모와 자녀, 학생과 학생간의 관계가 친밀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유관기관과 학교현장에서는 상담사와 상담교사를 통해 청소년이 지지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상담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internet over-dependence in youths after COVID-19 and to verify whether social support plays a buffering role by subdividing it into teacher support, parental support, and peer support. The data of 857 youths in Icheon city were analyzed through SPSS 22.0.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over-dependenc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nd a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over-dependence. On the other hand, parental support and peer suppor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s' depression and internet over-dependence, the support of parents and peers could not be controlled, and as the COVID-19 situation continu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students and students was not intimate. For this purpose, continuous counseling should be conducted so that youths can be supported through counselors at youth-related institutions and school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