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리외상을 경험한 자살위기 전화상담자의 사회적 지지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생명의전화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화상담자 3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3.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내용은 대리외상을 경험한 자살위기 전화상담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를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은 각각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전화상담자 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기관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훈련, 수퍼비전, 복리후생 등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자살위기 전화상담자를 관리하고 지원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ocial support of suicidal crisis telephone counsellors who experienced vicarious trauma affe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364 telephone counsellors working at the LifeLin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statistical progra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suicidal crisis telephone counsellors who have experienced surrogate traum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post-traumatic growth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respectively.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nurturing telephone counsellors was provided, and 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training, supervision, and welfare at the institutional level, it provided evidence necessary to manage and support suicide crisis telephone counsell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