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학 분야를 중심으로 국내 학습조직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최근 동향 및 내용적 특징을 파악하여 학습조직 연구의 내실화 달성과 미래 발전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학습조직의 정의, 구성요소, 유사 개념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주요 특징을 확인하였고, 이를 분석 틀 기준에 포함했다 2022년 7월을 기준으로 총 123편의 논문이 분석 대상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교육학 관련 학습조직 연구의 양적 규모는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교육학 관련 학습조직 연구는 주로 양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하고 있었다(전체 논문 중 76.4%). 셋째, 세부 학문 영역에 따라 연구대상은 기업, 초・중등교육, 고등교육을 망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적연구의 경우, 변인 설정을 위한 이론적 타당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많았으며, 측정 도구의 유형 측면에서 보았을 때, 양적연구의 67%에서 Watkins와 Marsick(1993; 1996)의 DLOQ를 차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내 연구들은 각자의 시각에서 선별적인 학습조직 정의를 제시하는 경향성이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대부분의 국내 학습조직 연구는 Watkins와 Marsick(1993; 1996)의 학습조직 구성요소의 관점을 차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체 중 약 30%의 연구에서 조직학습과 지식경영의 개념이 학습조직과 혼용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추후 학습조직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예비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ent trends of studies vis-à-vis learning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South Korea. In doing so, we attempt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develop the research of learning organizations in the future. Criteria for data collection are based on our exploration of the definitions, components, and relevant concept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their features described in previous studies. As of July 2022, a total of 123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for ou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our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ntitative scale of research on learning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South Korea remained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at of foreign countries. Second, many studies vis-à-vis learning organizations us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76.4% of all papers). Third, the objects of studies include various fields including companie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Fourth, in the case of the studies that us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theoretical validity for variable settings was often insufficient. In addition, regarding the types of measurement tool, 67% of quantitative studies use DLOQ offered by Watkins and Marsick(1993; 1996). Finally, many studies in South Korea have a tendency to offer the definit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In terms of the components of learning organization, almost all studies in South Korea follow those suggested by Watkins and Marsick(1993; 1996). Furthermore, some studies (about 30% of all papers) often mix the concep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knowledge management, and learning organiz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we elicit,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to revitalize research on learning organization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