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대형화재와 관련된 위험정보소통의 효과성을 설명하는 탐색적 모형을 개발하고 이의 타당성을 일반 국민 1,1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인식조사의 결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모형은 대형화재와 관련된 정보수신자의 역량이 대형화재위험소통의 효과성을 높이는데영향을 초래할 것이며 화재에 대한 위험인식의 정도가 매개의 역할을 그리고 개인과 사회에 대한 신뢰의 정도가 조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모형측정의 결과, 대형화재에 대한 위험정보소통의 효과는 대형화재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능력과 대형화재에 대한 위험 인지의정도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응답자의 자신과 주변에 대한 신뢰의 정도는 위험정보수용역량과 화재위험인식의 관계를 조절하며 모형 전체에 대한 간접적 조절효과인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 effect)도 보여주고 있다. 모형의 통제변수로 포함된 성별이나 연령의 구분은 위험정보소통의 효과성 평가에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고있으며 대형화재위험정보소통모형의 구축과 활용 그리고 소통방식에 차별화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적시하고 있다. 또한 Hayes(2022)의 PROCESS procedure v4.1을 활용하여 정책문제의 분석에서 조절된 매개효과의 규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study, an exploratory model was developed to explain the effectiveness of risk information communication related to large-scale fires, and its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results of a perception survey conducted on 1,100 members of the general public. The model of this study is that the capacity of information recipients related to large-scale fires will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large-scale fire risk communication, the degree of risk perception about fire plays a mediating role, and the degree of trust plays the role of moderator. The model testing confirmed that the effectiveness of risk information communication for large fire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bility to acquire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risk perception. In addition, the trust level of respondents in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acity of risk information reception and fire risk perception, and also show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 indirect moderating effect on the entire model. The classification of gender or age included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model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risk communication. This suggests that differentiation efforts are needed in the development, use, and interaction methods of a large-scale fire risk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methodologically tha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olicy means in the policy analysis can be easily dealt with by using the PROCESS procedure v4.1 of Hayes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