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기후변화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자연 과학과 사회 과학의 도움을 받아 기후변화의 핵심 성격을 찾는다. 기후변화가 미래에 초래할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도 상당한 정도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완전한 예측이 불가능한 지구 시스템의 작동 메커니즘, 지구 기후 모델링(모사)의 한계, 인지 편향 때문이다. 불확실성을 이유로 해야 할 일, 곧 온실가스 감축을 미룬다. 또 근대 합리성의 틀에서 볼 때 기후변화 해결을 위한 참여와 협력은 매우 어렵다. 공유지의 비극, 집단행동의 논리, 죄수의 딜레마 모델이 모두 그렇게 예측한다. 근대 합리성을 벗어나는 결단과 행동이 필요해 보인다. 기후위기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고, 사람 간의 도덕적 관계를 어떻게 자연으로까지 확대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만든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전통 윤리 이론, 곧 목적론적 사고와 자연법, 공리주의, 의무론과 함께 이를 토대로 하는 환경(동물) 윤리 이론으로서 동물 해방론(싱어), 동물 권리론(리건) 그리고 새로운 환경 윤리로서 생명 중심주의(테일러), 생태 중심주의(레오폴드)에 대해 살펴본다. 그런데 인간 중심주의를 극복하고 자연에 고유의 내재적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환경 윤리학자들의 논의가 완벽하게 성공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인간의 특별한 지위를 포기함에 따라 인구 제한과 같은 비상식적인 결론에 도달하고, 여러 난제를 해결하다 보면 인간 중심주의와 비슷해진다. 인간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는 인간 중심주의의 장점도 외면하게 된다. 흥미롭게도 생명·생태 중심 사상은 종교적·신비적 체험에서 비롯되었다. 종교적 성찰과 각성이 가지는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그리스도교를 환경·생태 위기의 원인 제공자로 보는 견해(화이트)가 있다. 하지만 그리스도교의 사상 전통 가운데 기후위기의 해법이 될 수 있는 프란치스코의 영성이 있다. 자연에 영적인 자율성을 인정하고, 겸손의 덕을 가지고 자연을 대하는 것이다. 자연의 질서 안에 하느님의 계획이 드러난다고 본 아퀴나스의 사상 역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새롭게 조망할 수 있게 한다. 자연 과학적, 인과론적 세계관을 수용하고, 이성을 가진 자율적 존재로서 인간에 대해서만 존엄성을 부여하는 근대 윤리학의 개념과 논리를 자연으로까지 확대하려는 환경 윤리에 한계와 불안이 보인다. 적어도 인간과 자연 위에 창조자의 존재를 받아들이는 신앙인에게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피조물의 민주주의’(프란치스코 성인)가 가능하다.


This article aims a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which is an existential threat to humans and to nature. Natural science explains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quite well. However, uncertainties and ensuing debates regard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obstructs the adequate mitigation efforts. Also the three social scientific theories(i.e. the tragedy of the commons,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and the prisoner’s dilemma) expects rational actions which fail to cooperate for better results. The three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and the major theories of environmental ethics are introduced to review the human-nature relationships. Biocentric and ecocentric ethics include organisms (biocentric) and ecosystems (ecocentric) as elements of their community. The two theories assume that its members have an inherent value, which is not instrumental and external. It seems that nature cannot have the value in itself as long as only humans can make a valued judgment. Furthermore, it is quite difficult to use biocentric and ecocentric ethics in the real world of normative decisions. The last section begins with Lynn White Jr.’s seminal article titled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al Crisis.” Although he criticizes the Western Church for the ecological crisis in the modern world, he finds an alternative Christian view in St. Francis’ understanding. Such radical thoughts of the virtue of humility and a democracy of all God’s creatures by St. Francis can provide a moment of religious awakening that is necessary to remedy the modern ecological cri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