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기본 연구 성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세 가지 방면에서 而已广 張混의 시문학을 재조명한 결과이다. 그 셋은 (1) 장혼 시문학에 내포된 자기 서사의 여정 (2) 詩社 활동과 공동체 만들기의 욕망 (3) 장혼 시문학의 대표작과 그 성격이었다. (1)에서는 <述貧詩> 계통의 작품을 검토했으며, (2)에서는 聯句의 현황 및 陶淵明의 用事 양상에 초점을 맞추었고, (3)에서는 『風謠續選』, 『大東詩選』 등의 선발 작품에 유의하되 장혼의 삶에 밀착된 시 작품의 특성을 살폈다. 3장 본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3장 1절 「자기 서사의 행로와 이루지 못한 은퇴」에서는 그가 한평생 <述貧詩>(30대작), <自述>(40세작), <客至>(노년작)를 비롯하여 자기 서사적인 작품을 지속적으로 남겼으며, 가난이 초래한 고난 및 은퇴에의 염원 등을 중심 소재로 삼았음을 파악하게 되었다. 가난을 벗어나 평화로운 은퇴를 바랐던 꿈은 그러나 생을 마칠 때까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는 생의 마지막 단계까지 경제적 곤란을 해결하기 위해 애썼고 그 노력이 여러 시편에 편재되어 있다. 3장 2절 「시사 활동과 공동체 만들기의 욕망」에서는, 그가 玉溪社 및 松石園 詩社의 구성원들과 합작한 聯句를 통해 중인 시인들의 유대 양상을 검토했으며, 여기에서 나아가 평화로운 마을 만들기의 욕망이 여러 시편에 점철되어 있음을 조명하였다. 여기에는 도연명의 남촌 마을 이미지가 투사되어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3장 3절 「장혼 한시의 대표작과 핵심적 경향」에서는 시선집에 선발된 작품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대표작이 지닌 경향을 분석했는데, 憂・樂이 동반된 내용과 시적 형상화 능력이 능숙하게 결합되어 있었음을 추출할 수 있었다. 늘 모자라고 고생스러운 현실에서 주어진 결함을 수용하며 의연해지고 너그러워지려는 자세가 장혼 한시의 진수라고 보았다. 본고는 개별 존재로서의 고투가 저마다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는 입장에서 장혼 한시의 긍정적 가치를 조명하고자 했다. 그는 가난・신분・불구의 삼중고가 짓누르는 생존 환경 속에서도 성실하고 정직하게 살았으며 많은 수량의 시를 그 안에서 생산해 내었다. 매일매일 작지만 소중한 것들을 지키며 생애 내내 희망을 찾으려 노력했던 장혼의 시문학은, 직업과 가족과 개인의 꿈 사이에서 존재의 이유를 되물어야 하는 오늘날의 우리들에게도 깊은 공감을 준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is the result of reexamining Jang Hon(張混: 1759-1828, pseudonym is Yiyieom 而已广)'s poetry literature in three ways to supplement the basic research results. The three are (1) the journey of self-description contained in Jang Hon's poetry literature (2) activities of poetry society and the desire to create a community (3) Jang Hon's representative work of poetry literature and its character. The content of the body is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of the body, "The Path of Self-Description and Unfulfilled Retirement," I found that he continued to leave his narrative works throughout his life, and focused on the hardships caused by poverty and the desire for retirement. Here, I also mentioned that, despite his aspirations, he did not achieve his dream of retirement until old age, and that his efforts to solve economic difficulties until his death were left in many poems.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body, "Activities of Poetry Society and the Desire to Create a Community," I reviewed the ties of Jungin (中人: middle class people) poets through couplet poems, which he collaborated with poetry society members of Okgyesa (玉溪社) and Songseokwon (松石園), and highlighted his desire to create a peaceful village in many poems. I could see that the image of Tao Qian (陶潛: 365-427)'s southern village was projected in these poems. In the third verse of the main body, "Representative Works of Jang Hon’s Poems in the Chinese Style and Their Core Trends," I analyzed the trends of his representative works by focusing on the works contained in his anthology of poem, revealing that the mixture of anxiety and delight is closely combined with the expressive ability of the work. I saw that the attitude to accept and be generous with a given defect in the insufficient and painful reality was the high level of Jang Hon’s poems in the Chinese style. This article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positive value of Jang Hon’s poems in the Chinese style from the standpoint that each individual being has a special value. He lived faithfully and honestly in a survival environment weighed down by various hardships and produced many poems in it. Jang Hon's poetry literature, which has tried to find hope throughout its life while protecting small but precious things, also deeply sympathizes with us today, who have to ask the reason for existence between jobs and family and individual dre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