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로나 19 이후 전통적인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디지털 환경 속에서 그 형태가 변화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X)의 확산으로 재편되면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와 함께 경쟁 또한 더 치열해지고 있다. 디지털화는 비즈니스의 형성과 운영방법 등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단순히 테크놀로지의 문제가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가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를 협동, 설계, 전개하는 방법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서 한국과 일본의 기업가정신의 현황 비교를 통해 각국의 현황은 어떠하며, 디지털시대의 올바른 기업가정신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바람직한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대해 제언해보고자 한다. 한국의 기업가정신은 최근 코로나 상황에서 몇몇 국가별 기업가정신 지수가 상승하였지만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근본적으로는 선진국 대비해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중요한 것은 시대에 따라 기업가정신은 변해야 한다는 점인데 급변하는 환경 속에 변화의 물결을 타지 못하였다면 이는 후퇴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무엇보다 한국의 기업가정신 지수가 낮은 이유 중 제일 큰 이유는 실패를 이해하거나 용인해 주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연공서열제, 종신고용제와 같은 관습의 정착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기업가정신에 대한 평가가 국제적으로 떨어진다는 경향이 있다. 일본에서는 기본적으로 직업을 선택할 때 종신고용을 해주는 기업에 대한 취업이 주류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업가정신의 육성을 촉진하는 것이 좀처럼 어려운 환경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한 귀결은 기업가치의 원천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동래의 기업과 비교해보면, 일반적으로 디지털 기업은 소유하고 있는 물리적 자산은 적고 인적자본, 소프트웨어, 지적자산 등의 무형자산으로부터 많은 가치를 창출한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기업의 무형자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반영한다. 첫 째, 종업원과 창업자 (인적자본)의 서로에 대한 공헌, 둘 째, 고객과 공급자와의 관계 (관계자본), 셋 째, 소프트웨어 및 지적자산 등을 포함한 종업원 이외의 모든 스테이크 홀더 이상 3가지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이상과 같은 기업 가치의 반영을 통해 디지털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도 중요하지만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하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Since the COVID-19 pandemic, traditional business processes have been reorganized with the spread of Digital Transformation (DX), in which the form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competition is becoming fiercer along with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Digitization is fundamentally changing how businesses are formed and run. It's not just a matter of technology, it reflects a shift in how new businesses collaborate, design and deploy new products and services. In this study,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urrent status of entrepreneurship in Korea and Japan in the era of rapidly changing digital transformation, we will review what the current status of each country is and what the right entrepreneurship in the digital age is.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a desirable digital entrepreneurship in Korea. Entrepreneurship in Korea seems to be a temporary phenomenon, although several country-specific entrepreneurship indices have risen in the recent COVID-19 situation. Fundamentally,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has been continuously declining since the 1980s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The important thing is that entrepreneurship must change according to the times, and if it has not been able to ride the wave of change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t can only be seen as a retreat. Above all, the biggest reason among the reasons why Korea's entrepreneurship index is low is the social atmosphere that does not understand or tolerate failure. In Japan, the evaluation of entrepreneurship tends to fall internationall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establishment of customs such as seniority system and lifetime employment system. In Japan, it can be said that employment in companies that provide life-long employment is basically the mainstream when choosing a job,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An important corollary of new business models in the digital age is changing the sources of corporate value. Compared to companies of the same era, digital companies generally own fewer physical assets and create more value from intangible assets such as human capital, software, and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in essence, an entity's intangible assets reflect: First, the contributions of employees and founders (human capital) to each othe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and suppliers (related capital), and third, all stake holders other than employees, including software and intellectual assets, etc. that is reflecting Systematic education is important to foster digital entrepreneurship through the reflection of corporate values in Korean society, but it is also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re are opportunities to try again even if you f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