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친구관계, 교사-학생 관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3개의 독립변인이 각각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했다.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교사-학생 관계를 독립변인으로,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했다. 모델 검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 패널조사에서 중학교 1학년 제3차 조사(2020년) 패널자료를 분석했다. 변인 간 관계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했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핑을 사용했다. 그 결과, 첫째, 부모양육태도 및 친구관계, 교사-학생 관계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양육태도 및 친구관계, 교사-학생 관계는 자아존중감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3개의 독립변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했다. 넷째, 3개의 독립변인 중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to compare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effects.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in which parenting attitudes,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were posited as independent variables, self-esteem as the mediator, and life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survey data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in which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3rd survey) were examin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of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had direc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Second, each of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had direct effects on self-esteem. Third,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Lastly,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was the largest.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