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가정을 방해하는 일(work interfering family, WIF)과 일을 방해하는 가정(family interfering work, FIW)이라는 일-가정 갈등의 두 하위유형이 직무탈진의 대표적 하위요인인 소진과 냉소에 미치는 효과가 성별 및 결혼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일-가정 갈등이 직무탈진에 갖는 효과가 14일 후에도 지속되는지도 분석하였다. 온라인 조사회사에 등록된 잠재적 연구참여자 중 만 19세 이상으로 전일 근무를 하는 직장인이나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1차와 2차 설문에 모두 응답한 1,10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일-가정 갈등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효과는 여성 직장인보다 남성 직 장인에게서 대체로 더 크게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는 FIW와 소진 간 관계에서 관찰되었으며, 미혼보다기혼이더큰정적관계를보였다. 성별과결혼여부를조합하여네집단을비교했을때, 미혼 여성에게서 FIW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해로운 효과가 가장 약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미혼 여성이 직무탈진의 평균은 가장 높게 보고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조사한 총 여덟 개의 모형 중 WIF 가 예측변수였던 네 개의 모형에서 일-가정 갈등의 효과가 1차 측정한 직무탈진을 통제하고도 2차 직무탈 진에 직접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FIW의 경우 1차 직무탈진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관찰 되었다. 한 시점에서 측정한 일-가정 갈등의 부정적 효과가 14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가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의해 달라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일-가정 갈등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실무적 함의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subtypes, work interfering family (WIF) and family interfering work (FIW), and burnout subtypes (exhaustion and cynicism) would differ contingent upon the respondents’ gender and marital status. In addition, the lagged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were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would exist after 14 days. Participants were 1,108 full-time workers who completed two-time online surveys from the pool of a professional survey company. In general,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burnout appeared larger among men than women. Further, the effect of FIW on exhaustion was larger among married workers than single workers. Additionally, the comparison among four groups resulting from the combination of gender and marital status show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s of FIW with burnout facets were the weakest among single women. However, single women reported the highest mean scores of burnout facets. Finally, WIF had the direct effects on Time 2 burnout subtypes even after Time 1 burnout subtypes were controlled, whereas FIW had only the indirect effects. These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how to intervene the harmful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