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80년대에는 남북 관계에도 급격한 변화가 있었던 시대였다. 세계적인 냉전 구도가 유화국면에 접어들면서 냉전의 최첨단에 서 있었던 한반도에도 변화의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1987년에 민주화가 이루어지면서 시민들의 참여 의식이 고조되었고 통일에 대한 논의는 새로운 쟁투의 장이 되어갔다. 통일 논의에 있어 주도권을 가져왔던 정부는, 지속적으로 통일 담론을 주도하고 이를 통해 정권을 강화하길 원했지만 통일 논의에 참여하려는 시민사회의 욕망은 문익환, 황석영의 방북과 같은 민간 차원의 통일 논의를 이끌어내고 있었다. 극단 아리랑의 통일문제작 시리즈는 이런 배경에서 탄생한 작품들이었다. 극단 아리랑의 통일문제작 시리즈 <불감증>과 <점아 점아 콩점아>는 1980년대 민족극 계열의 통일 소재 연극의 대표작으로, 1980년대 말 진보적 연극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통일에 대한 감각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불감증>은 군대라는 제한적인 공간에 모인 인간군상을 통해 분단의 실체와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 하게 만드는 허위의식을 비판하고 나아가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고조된 반미의식을 선명하게 드러냄으로써 광주민주화운동과 통일이 접속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뒤이어 공연된 <점아 점아 콩점아>는 앞선 인식을 계승함과 동시에 당시 민중 집회 장소에서 펼쳐졌던 통일 굿의 양식을 수용, 계승하여 통일에 대한 강렬함 염원을 그려냄과 동시에 민중을 통일 논의를 위한 주체로 호명했다. 두 작품은 통일에 대한 강력한 염원을 담아냄과 동시에 통일을 단순히 당위의 차원에서 그리는 것이 아니라, 분단을 민중이 겪어야 했던 역사적 아픔의 하나로 설정하고 나아가 통일에 대한 논의가 하나 된 조국의 주권 문제로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준 작품들이기도 했다.


The 1980s was a period of rapid change in inter-Korean relations. As the global Cold War structure entered the phase of consolidation, an atmosphere of change was created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at the forefront of the Cold War. As democratization took place in 1987, citizens' awareness of participation was heightened, and the discussion of unification became a new arena of struggle. The government wanted to continue to lead the unification discourse, but the desire of civil society to participate in the unification debate was leading to the private-level unification discussion, such as the visit of Ik-Hwan Moon and Seok-Young Hwang to North Korea. The unification problem series of the theater company Arirang was born in this background. The theater company Arirang's unification problem series, <Insensitivity> and <jeom-a jeom-a kongjeom-a>, which are representative works of unification theatrical plays of the people’s theater in the 1980s, show the sense of unification that progressive theater people had in the late 1980s. <Insensitivity> criticized the false consciousness that made it impossible to properly grasp the reality and cause of division through the human figures gathered in the limited space of the military. Furthermore, by clearly revealing the anti-American consciousness heightened after the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t shows the process of connection between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unification. Subsequent performance of <jeom-a jeom-a kongjeom-a> inherits the previous perception and at the same time embraces the style of reunification gut that was held at the people's gathering place at the time, drawing a strong desire for unification. The two works convey a strong desire for unification, and at the same time do not portray unification simply as a matter of duty, but set the division as one of the historical pains that the people had to suffer. Furthermore, it was a work that showed that the discussion of unification can be extended to the issue of sovereignty of a unified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