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국사회에서 ‘진실’ 왜곡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주요 사건들을 다룬 다섯 편의 다큐멘터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기록과 기억의 영화적 재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주류 언론에 대한 불신이 ‘포스트-트루스’ 현상을 촉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응으로 등장한 동시대 정치/역사 다큐멘터리들에 대한 검토는 동시대 한국사회에서 ‘진실’을 둘러싼 담론장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내삽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016년 이후 확산된 ‘포스트-트루스’ 혹은 탈진실이란 명명은 동시대를 대표하는 정치적, 문화적 용어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진실을 판명하는데 감정이나 신념이 앞서는 상황을 지칭하는 이 용어가 지나치게 규범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진실과 거짓의 이원론에 빠지거나 유일하고 절대적인 진리를 전제하게 되기도 한다. 본고는 최근의 정치/역사 다큐멘터리들의 분석을 통해 이들 영화들이 은폐된 ‘진실’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자칫 음모론으로 빠지거나, 역설적으로 혐오와 배제의 논리를 재전유할 위험에 관해 논한다. 다른 한편, ‘진실’ 규명의 불가능성, 혹은 여러 진실이 공존할 가능성을 통해 공통의 진실 혹은 총체적 진실에 다가가고자 하는 다큐멘터리들 역시 존재한다. 이는 객관적 진실이나 보편적 진실이라는 근대적 인식론을 넘어 진실 개념 자체에 의문을 제기한다. 본고는 이러한 영화적 재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진위여부로 환원되는 진실게임에서 벗어나 ‘진실’을 둘러싼 복잡한 담론 지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동체의 삶을 모색하는 영화적 상상력을 논한다.


This paper analyzes five documentaries dealing with major events that triggered controversy over ‘truth distortion’ in Korean society, and critically examines the cinematic way of documenting and remembering truth in the ‘post-truth’ era. In particular, given that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distrust of the mainstream media are triggering a ‘post-truth’ phenomenon, the research on contemporary political/historical documentaries that emerged in response is significant since these documentaries illustrat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discourse surrounding ‘truth’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e term ‘post-truth’ or Tal-chin-sil in Korean, which has spread since 2016, has become a representative socio-political and cultural term of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 term, which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emotions or beliefs precede reason in forming truth, is often understood too normatively. Thus, it makes us fall into the dualism of truth or lie, or presuppose the only and absolute truth. Through the analysis of recent political documentaries, this paper discusses the risk of these films falling into conspiracy theories in the process of tracking the concealed ‘truth,’ or paradoxically re-empowering the logic of hate and exclus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so documentaries that try to approach a common truth or a total truth through showing the impossibility of ‘truth’ or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various truths coexisting. These documentaries raise questions about the concept of truth itself beyond the modern epistemology of objectivity or universality in truth. By analyzing these films’ representative ways of documenting and remembering truth, this paper critically investigates the complex discourse surrounding ‘truth’ and discusses the cinematic imagination of seeking the life of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