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코기토” 명제로 잘 알려진 데카르트의 철학은 흔히 근대적 인간 주체를 발명한 선구적인 사상으로 이해되어왔지만, 최근에는 정확히 같은 이유로 혹독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포스트휴먼주의 사상가들은 이러한 데카르트 이원론이 인간과 비인간, 주체와 객체, 마음과 몸을 이분법적으로 또 위계적으로 구별함으로써 서구 근대의 여러 폐해를 낳았기에 이를 극복하는 것이야말로 21세기 철학의 과제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데카르트 연구자들은 이 철학자를 단순히 ‘데카르트 이원론자’로 치부할 수만은 없다고 말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를 받아들여 포스트휴먼주의 관점에서 데카르트를 읽는 방법을 모색해 본다. 나는 데카르트의 인간학이 통속적인 이원론보다는 포스트휴먼주의자들의 체현된 주체 개념과 더 잘 어울린다는 점을 보여주고, ‘동물 기계’에 관한 데카르트의 서술이 인간중심주의보다는 오히려 인간과 동물 그리고 기계 사이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데 일조한다고 해석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데카르트를 휴먼주의의 기원으로 보아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것이 포스트휴먼주의 기획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상기의 논의를 종합해 나는 포스트휴먼주의가 “우리는 결코 코기토였던 적이 없다”라고 선언할 때 비로소 그 과제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으리라는 결론을 내린다.


René Descartes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pioneer of modern philosophy who invented the modern concept of the human subject with his famous cogito argument. Indeed, posthumanists have criticized Descartes for that it was he who brought about the disastrous consequences of modernity by forging the hierarchical dichotomies between mind and body, subject and object, and human and nonhuman. Yet, recent commentators of Descartes claimed that it is unlikely that the philosopher viewed himself as a “Cartesian dualist.” Appreciating this new approach to Descartes, I attempt to reconcile posthumanism with Cartesianism. The argument is as follows. First, Descartes’ anthropology is compatible with the embodied subject theory that posthumanists advocate. Second, the Cartesian figure of bête-machine can blu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imals, and machines. Third, blaming Descartes is of no help to the construction of an affirmative posthumanist theory. Therefore, we can say that “we have never been cogito,” rephrasing Bruno Latour’s famous 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