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의 욕망은 종종 인간 고통의 본질적 원인으로 간주되곤 한다. 프로이트와 불교 역시 쾌 혹은 만족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망을 고통의 근원으로 보고 이를 이끄는 힘 혹은 에너지로서 리비도 및 갈애를 통해 정신병리의 기제를 해명한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불교가 고통을 다루기 위해 욕망의 근원적 힘의 개념[리비도, 갈애]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두 사상에서 해당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는지 살펴보고 이것이 병리의 기제와 어떻게 연관되며 고통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무엇이 제시되는지 검토할 것이다. 또한 욕망에도 긍정적 욕망이 존재하듯 욕망의 근원력 또한 승화되어 바르게 활용될 수 있음을 두 사상이 유사하게 지적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다만 근원력의 승화란 주제는 갈애를 소멸의 대상으로만 보는 초기 및 아비달마 불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대승 불교에 와서야 논해지는 것임을 구별한다. 대승 불교는 ‘번뇌즉보리’의 사상을 통해 번뇌의 승화 기제를 나름대로 설명함으로써 이에 대한 해명에 어려움이 있는 정신분석과 차이가 있음을 논하며 마무리한다.


The human tendency to desire something has often been regarded as the fundamental cause of suffering. Freud and Buddhism also consider human desire as the source of suffering, and explain the mechanism of psychopathology through libido and taṇhā as the root force that drives the human desi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Freud’s psychoanalysis and Buddhism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cept of the root force (Libido and taṇhā) to deal with suffering. First, the study discusses how these two concepts are defined in them. Second, the study reviews how these two concepts relate to the mechanism of their pathology. The study also suggests as a solution to cope with suffering. Third, the study confirms that the two ideas similarly point out that the root force can be sublimated, just as positive desire exists. However, the study is distinguished in that the subject of sublimation of taṇhā is not found in Early or Abhidharma Buddhism, which only views taṇhā as an object of extinction and is discussed only in Mahayana Buddhism with the idea of ‘Defilements which is awak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