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시간을 잃어버린다>는 것과 <시간을 되찾는다>는 것, 들뢰즈의 프루스트 읽기에서 이 두 가지의 것은 각각 <시간을 지나가는 흐름으로서 체험한다>는 것과 <시간을 이러한 흐름에서 벗어나 있는 영원한 것으로서 재발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들뢰즈에 따르면,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시간의 본래적인 모습이 실은 흘러 지나가 버리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제행무상(諸行無常)의 운명을 넘어서 있는 영원한 것이기 때문, 그리하여 이러한 영원성 속에서 항상 지금 여기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들뢰즈는 우리가 시간의 이러한 본래적인 모습을 되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은, 프루스트가 보여 주듯이, 우리의 삶의 무대인 경험적 세계를 넘어서 있는, 그러면서도 이 경험적 세계에서 우리가 겪게 되는 모든 체험의 숨은 진리가 무엇인지를 밝혀내 줄 수 있는, 독립적인 실체로서의 <본질들의 세계>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우리가 예술을 통해 이러한 <본질들의 세계>를 발견해 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시간의 본래적인 모습이란 곧 이 <본질들의 세계>가 존재하는 시간형식이라는 것이다. 프루스트에 대한 들뢰즈의 이와 같은 독법은 여러모로 플라톤의 이데아의 세계를 떠올리게 만들며, 실로 들뢰즈는 프루스트에게 깃들어 있는 플라톤주의의 깊은 흔적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하기도 한다. 하지만 경험적 세계를 넘어서 있는 독립적인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라는 그 위상에 있어서의 유사성을 제외하고는, 들뢰즈가 프루스트를 통해 이야기하려 하는 <본질들의 세계>란 플라톤의 이데아의 세계와 거의 모든 중요한 점에 있어서 서로 전혀 다르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 들뢰즈의 프루스트 읽기는 <본질이란 무엇인가>라는 철학의 오랜 문제에 대해, 플라톤주의 이래의 오래된 전통이 내어놓는 것과는 전혀 다른 대답을 하려 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의 1부에서 우리는 <시간을 잃어버린다는 것>과 <시간을 되찾는다는 것>이 어떻게 해서 각각 우리가 제시하는 저와 같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2부에서는, 들뢰즈가 그리는 이 <본질들의 세계>가 어떤 내적 구조로 짜여져 있으며 또한 우리의 경험적 세계에 대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들뢰즈가 본질에 대해 제시하려 하는 새로운 이해가 어떤 것인지를 살펴보려 한다.


In Deleuze’s reading of Proust, “Losing one’s time” means experiencing the time as something completely dominated by an irrevocable “passing-by” movement, while “Recovering this lost time” means rediscovering the true nature of this time as something eternal (i.e., something freed from this transitory character of time). According to Deleuze, Proust's aim of recovering one’s lost time can be achieved only when this true nature of time can be found on the level of “the world of essences” which, being beyond the empirical world, can nevertheless reveal the hidden truth of our life that we lead in this empirical world. One could, therefore, easily understand why Deleuze does not hesitate to see in Proust a resurrection of Platonism. It is, in effect, evident that Proust approves Plato’s idea of the independent reality of the essences, which find themselves beyond the empirical world. However, although this presence of Platonism in Proust is assuredly undeniable, the more essential feature of Deleuze’s reading of Proust lies rather in the attempt to show that these essences must be understood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than in Platonism. The task of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 it is possible to make sense of Proust’s idea of “Losing one’s time” and “Recovering this lost time” in the way we mentioned above.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we try to show the reason which permits Deleuze to suggest such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ess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