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블렌디드 러닝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만족 경험을 ERG 이론 적용을통해 이해하여 실습교육 방법 및 환경의 방향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실습 만족 조사지를 내용 분석한 질적연구로, 2020학년도 U시 소재 대학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Existence-Relatedness-Growth 이론에 근거하여 반구조화 된 문항을 활용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으며, 지시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3개의 중심범주 중 존재 범주에서 4개 하위범주, 관계 범주에서 3개 하위범주, 성장 범주에서 3개 하위범주, 총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존재의 하위범주는 ‘방역수칙이 적용된 실습 환경’, ‘비대면 시스템 활용의 미숙함’, ‘임상 상황을재현한 실습’, ‘대면과 비대면 혼용의 안전한 실습 방법’이 도출되었다. 관계의 하위범주는 ‘원활한 상호작용’, ‘비대면 소통의 한계’, ‘진지하고 편안한 실습’이 도출되었고, 마지막 성장의 하위범주는 ‘임상 수행 능력의 향상’, ‘간호 실무에 대한 자신감 상승’, ‘간호사로성장하기 위한 깨달음’의 경험이 도출되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블렌디드 러닝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의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초로 효과적인 교육방법과 교육 만족도 증가를 위한 다양한 수업 개발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a blended learning in simulation practicum based on ERG theory and to present the strategies of nursing education. Methods Study design of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d the contents of nursing students’ practicum satisfaction survey. A total 69 nursing students in U city in 2020 participated in this study. Semi structured survey based on the Existence-Relatedness-Growth theory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data analyzed using the directed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3 main-categories including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and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existence in main-categories, ‘practical environment with quarantine rules applied’, ‘inexperienced using non-face-to-face system’, ‘practicum that reproducing clinical situation’, and ‘safe practicum using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methods’ were analyzed. In the relatedness in main-categories, ‘smooth interaction’, ‘limitation of non-face-to-face communication’, and ‘serious and comfortable practicum’ were derived, and in the growth in main-categories, ‘improvement of clinical nursing performance’, ‘increasing confidence in nursing practice’, and ‘realization to grow as a nurse’ were analyzed. Conclusions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hrough a blended learning in simulation practicum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results, it is needed to develop diverse teaching methods to adapt effective simulation education and to increase educational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