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4월혁명 기간에 어린이들은 자신들이 현 사회의 구성원이며 정치적 행위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인상적으로 보여주었다. 수송초등학교 어린이 시위는 가장 잘 알려진 사례이지만, 당시 사회에서 구호와 관리의 대상으로만 여겨지던 거리의 소년들, 즉 이름도 알려지지 않고 소속도 불분명한 거리의 고아, 부랑아, 구두닦이, 신문팔이 어린이들도 다수 참여하고 있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 시위대의 진지하면서도 격앙된 표정은 해방 이후 강화되었던 ‘새나라의 어린이’, ‘착한 어린이’의 이미지에 균열을 가져왔다. 어린이들의 시위는 사회적으로 취약한 존재인 어린이들이 시민의 광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어린이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 동기뿐만 아니라 동료 시민들의 연대가 필수적인 조건이 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어린이들은 이성적이고 자율적인 개인에 기반한 근대 시민 개념의 폐쇄성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존재다.


During the April Revolution 0f 1960 in Korea, children impressively showed that they were members of the current society and could be the subject of political action. The children’s demonstrations at Soosong Elementary School are the most well-known example, but it is worth remembering that many street boys who were considered only objects of relief and management in society at the time, that is, street orphans whose names and affiliations are unknown, street children, shoe shiners, and newspaper sellers were also participating. The serious and furious expressions of the children protesters brought cracks to the images of ‘children of the new country’ and ‘good children’, which had been strengthened since liberation. Children’s demonstrations showed that for children who are socially disadvantaged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square, the solidarity of fellow citizens as well as the children’s voluntary and active motivation to participate was an essential condition. Children are the beings that make us look back on the closedness of the modern citizen concept based on rational and autonomous individ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