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군(軍)의 위기 시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에 디지털 이미지를활용한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이다. 위기 유형(사건, 사고)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입장(위기 시인, 위기 부인) 및 메시지 형태(텍스트, 텍스트에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확인하는 2×2×2 집단 간 요인설계의 실험연구를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사건 유형의 위기 시에 위기 시인 입장의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텍스트만으로 된 메시지보다 진실성과 신뢰성에서 유의미하게 평균값이 높았고, 사고 유형의 위기 시에는 위기 부인 입장의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텍스트만으로 된 메시지보다 신뢰성에서 유의미하게 평균값이 높았다. 군(軍)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전략 사용 시에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일부 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된것이다.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메시지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단으로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strategy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and selection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e event of a military crisis.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strategy and the message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crisis in the military.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as confirmed by factor design between 2×2×2 groups. The factor design is crisis type (incident/accident),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position (crisis concession/crisis denial) and message form (text/message using digital image in tex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the message form,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in the position of crisis concession in an incident-type crisis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values in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than text messages without digital images. In addition, in an accident-type crisis, messages using digital images in the position of crisis denial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values in reliability than text messages without digital images. This shows digital images’ possibility as a mean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by empirically proving some effects of using digital images in military crisis communication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