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문학비평사에 있어서 기념비적인 위상을 지닌 『문심조룡』을 지은 유협과 당대의 고문운동을 주도한 한유가 소지한 문학관을 비교하여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우선 유가 부흥을 자신의 소명으로 삼은 한유와 유가 사상을 『문심조룡』을 지탱하는 중심사상으로 삼은 유협이 유가의 도를 존숭했던 이유, 그리고 글에 있어서 어째서 유가의 도가 중요했다고 생각했는지 그 원인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유가 이외의 학파였던 불가와 도가, 그리고 그들의 학설에 대해 두 사람이 어떠한 견해를 갖고 있었는지 비교했다. 그 다음으로는 두 사람이 언급한 소위 ‘기’라는 요소가 문장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또 그들이 봤을 때 저자가 처해있는 환경과 처지가 그의 창작의 성공여부와 어떻게 결부되는지에 대해서도 탐구했다. 아울러 그들이 문학적 표현과 수사에 대해 어떠한 조건을 제시했는지, 표현과 수사의 아름다움을 극도로 추구했던 변려문이란 문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지 등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했다. 문장을 치세의 수단으로 여기고 문인으로서 자부심을 지녔던 지식인들은 역사적 혼란기 때마다 문장의 마땅한 모습에 대해 성찰했다. 고대 중국에서 수없이 제기되었던 복고사조가 그 결과물 중 하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통찰은 유협과 한유의 글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인들의 문학사상, 그리고 그들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carries out comparative analysis on Liu Xie, the writer of the monumental masterpiece in Chinese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The Literary Mind and the Carving of Dragons, and Han Yu, the leader of the ancient prose movement in Tang Dynasty. To be specific, this paper scrutinizes the reasons why Han Yu, who regards reviving Confucianism as his duty, and Liu Xie, who employs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as moral principles in his mentioned work, respect the Dao of Confucianism, and why they think it is indispensable in ideal writings. On top of this, this study also compares Liu Xie and Han Yu’s attitudes toward the main schools other than Confucianism at that time, which is Daoism and Buddhism, including these schools’ ideas. Moreover, it examines the exact role of the so called "qi" in writings maintained by Liu Xie and Han Yu. Besides, it studies their though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tuation or the social position of a writer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his works. Furthermore, it explores the ideal model of literary expression and rhetoric in their minds. Last but not least, it analyzes their pro and con about pianwen which extremely pursues the expressional and rhetorical beauty of writings. As literati treated writings as a tool for governing the country and were proud of their identity as a writer, they usually searched for the proper style of writings during the time of chaos. The frequently presented trend of retro style writings across Chinese history were all results reflecting the literary point of view of literati. Therefore, insights given by this study may shed light on the follow-up research on the literary point of view held by various Chinese wri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