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유행으로 초래된 원격수업 혹은 비상원격교육(ERT: Emergency Remote Teaching)을 경험한 대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이를 수강하기 희망하는지 알아보고,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대일치모형을 활용하여 원격수업의 기대일치, 지각된 유용성, 학습만족도 및 지속수강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원격수업의 유형으로 대별되는 실시간 원격수업과 비실시간 원격수업에서 변인들 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에 두 학기 이상 원격수업 수강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최종 629명의 설문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원격수업 상황에서 기대일치모형은 학습자들의 지속수강의도에 대한 예측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시간과 비실시간 유형에 관계없이 적용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대일치요인이 지각된 유용성보다 전반적으로 지속수강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대일치가 학습만족도에 주는 영향이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나서,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원격교육과는 차별되는 특성을 지닌 원격수업 경험 이후 앞으로 원격수업의 방향성과 의의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해 일부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emergnecy remote teaching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want to continue taking remote classes, and to fi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it. To this e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s of distance learning,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and continuing course taking intention by using the expection-confirmation model(ECM).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synchronous remote teaching and asynchronous one. For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629 college students who had taken distance classes for two or more semesters in 202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CM was found to be meaningful in predicting learners' continuous course taking intention in the remote learning situation, and that it could be applied regardless of types of synchronous. The ECM had also a greater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taking the course overall than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of the ECM on learning satisfaction were similar, suggesting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is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in part to the direction and significance of distance education in our educa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