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탈중앙화자율조직(ʻʻDAOʼʼ: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이 등장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이 영리조직의 결성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관심을 끌게 되었다. 이 글은 DAO가 전통적인 회사법제에 던지는 몇 가지 의문에 나름의 생각을 덧붙인 것이다. DAO 사례가 축적되면 그 탄력성에 비추어 더 많은 논점이 등장할 것이기에, 이 논의의 성격은 잠정적이고 시론적이다. DAO에 대한 상세한 규율 및 입법은 ʻ분산ʼ되고 ʻ자율ʼ적인 조직을 상정하는 DAO의 개념 자체와 충돌한다. 다만 중심기관이 없다는 것이 구조가 없다는 것은 아니기에, 어느 정도의 입법적 뒷받침은 불가피해보인다. 첫째로 DAO가 단순히 협동조합 수준에 그치지 않고 영리조직으로 성장하려면 적어도 구성원들의 유한책임(이른바 소유자격리)은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DAO를 일종의 유한책임회사(LLC)로 규정함으로써, 법인격을 부여함과 동시에 재산분리(asset partitioning)을 인정하는 와이오밍, 버몬트주 등 입법례가 참조될 수 있다. 다만 우리법제가 DAO를 수용하려면 기본 유한책임조직과의 정합성을 고려할 필요는 있을 것이다. 둘째로 DAO의 이상은 모든 구성원의 의사가 전부 반영되는 민주적인 운영이다. 이에 따라 DAO의 원형에는 별도 집행기관도 설치되지 않는다. 다만 이렇듯 직접 민주주의적 운영은 주로 펀드나 소규모 기업에 더 적절할 수 있다. 다른 업종에서도 DAO의 투명성, 탈중앙성 등 특장점을 일부나마 반영하려는 수요가 있을 수 있다. DAO 관련 입법이 이루어진다면 구성원들간 협의에 따라 집행기관을 둘 수 있도록 열어두는 것도 대안이 될 것이다. 셋째로 DAO 구성원 사이의 법률관계는 기본적으로 구성원들이 자치적으로 규율하도록 하면 족하다. 투표권의 배분 방식, 구성원들 상호간 신인의무 등도 내부적으로 정하도록 하고 다만 법적으로 디폴트룰을 제시할 수는 있을 것이다. 특히 DAO 운영에서 구성원의 총의가 중요하므로 투표권 배분 및 행사 방식에 대한 다양한 실험이 가능하고 또 필요하다. 넷째로 DAO 관련 블록체인 프로토콜 등 오류로 인한 개발자의 책임의 문제이다. 아직 이를 명시적으로 규율하는 입법도 없고 학계 논의도 숙성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특히 공개형 블록체인 프로토콜은 개발자 그룹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칫 그들의 개발욕구를 저하시킬 수도 있으므로 엄격한 책임을 부과할 수는 없다고 판단된다. 당장의 입법적 조치보다는 일반적인 불법행위 법리 등에 의지하면서 개발자 그룹의 성격, 관리범위 및 그에 따른 이득 등 사례를 유형화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s or DAOs recently attract expectations from both academia and business community as substitutes for traditional business organizations including stock corporations or partnerships. In Korea, DAOs got spotlights from public media when a domestic DAO and a foreign DAO competed in an auction for well-known national treasury in early 2022. This paper is to explore legal issues on this brand-new device for business organization by way of comparing with other organizational forms and of applying traditional firm theory like agency problems to it. Detailed regulations or codifications over DAOs might contradict the very nature of DAOs – DAOs are supposed to operate in ʻautonomousʼ and ʻdecentralizedʼ way. However, this paper found that at least some legislative interventions are inevitable as follows. First, limited liability privilege should be allowed to the members of DAOs. Without limited liability, a DAO cannot make a decent vehicle for operating commercial activities. Some states in the US like Vermont, Wyoming and Tennessee recently adopted new legislations which stipulate asset partitioning and personhood of a DAO.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learly define the legal status of DAOs as business organizations. Second, while strange to prototype DAOs, new legislation should give members of DAOs the discretion to adopt a separate management organ at DAOs. Prototype DAOs presume democratic decision-making by all members via blockchains.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business operated by a DAO, a centralized management might have merits over pure democratic operation. We may call it a hybrid DAO. Demands from other organizational forms to incorporate or combine DAOsʼ features should be covered. Third, DAOsʼ decision-making process deserves thorough analysis. Collective decision making is a cornerstone of DAOs. The rational apathy as shown in shareholder meetings may reemerge in DAOs, though. Various devices including futarchy voting, liquid democracy and quandratic voting have been suggested. New legislation may stipulate a default rule for providing and calculating voting rights of members. Lastly, the liability issue of failed DAOs should be cautiously dealt by. Imposing liability upon developers and other peers may curb innovations and development in DAOs, which might result long-term social losses. Instead of introducing new rules for stricter liability, the government may resort to traditional tort liability jurisprudence and try to locate blind spots in term of protecting innocent third pa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