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근대시기에 재이는 천재지변뿐 아니라 일‧월식이나 기형 동‧식물 출현 등처럼 당시 지식으로는 비정상적이라고 여긴 자연현상을 가리켰다. 재이는 피해가 클 뿐 아니라 정치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재이가 정치 권력의 명분과 정당성에 민감한 사안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왕조마다 대책 마련에 부심하였고 관련 사실을 역사에 기록하였다. 그동안 학계에서 고려시대 재이 관련 연구성과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적이 거의 없었다. 그렇지만 현재 자연환경 변화의 심각성을 깨달으면서 재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제 재이 관련 연구의 수준을 더 높이고 연구시각을 확장하려면 사료의 성격과 한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선행연구의 성과와 쟁점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한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재이 기록의 사료적 성격과 한계, 유교 정치사상으로서 천인감응론의 적용, 중앙집권체제의 유지와 재이 대책, 재이 사료를 활용한 자연환경의 복원, 전염병의 추이와 의료 등으로 분야를 나누어 연구 현황과 쟁점들을 살폈다.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한 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이를 연구할 때 먼저 사료의 한계를 인식하고 비판과 補正작업을 해야 한다. 둘째, 천인감응론을 단지 정치사상으로서가 아니라 정치문화론의 관점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이에 대한 대응을 고려시대의 다원성과 통합성의 관점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재이를 예언으로 해석하는 문헌적 근거와 그 정치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동아시아 범위에서 수준 높은 재이 DB를 구축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학제간 연구를 해야 한다.


In the premodern age, calamity referred to a natural phenomenon which was regarded as being abnormal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at that time like solar eclipse or appearance of deformed animal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Calamity had great damage and had a great effect on politics. Because calamity was treated as a sensitive issue in justification of political authority, each dynasty was extremely worried about preparation plans and recorded the relevant facts. Until now the academia has almost never reviewed overall research articles on calamity in the Goryeo Dynasty. However, there has been a rising interest on disasters as it realized the seriousness of natural climate change. Now, to raise the research level on calamity and expand the perspective of research, the features and limits of the historical records need to be exactly understood. Also results and issues of the precedent studies need to b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their problems need to be examined. This thesis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tudies by dividing the fields into the historical feature of calamity records,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s’, the anti-calamity measures of the centralized government, the chan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 medical treatment of epidemics etc.. The points which need additional research in the future are as follows:First, when studying calamity, the limits of the historical records should be first recognized and criticized and corrected. Second, the theory of ‘mutual resonance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s’ needs to be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heory of political culture, not just as the political ideas. Third, response to calamity needs to be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pluralism and coexistence in the Goryeo Dynasty. Fourth, studies on the original texts which interpret calamity as prophecy and the political functions should be done. Fifth, a high level of DB of calamity should be built in a range of East Asia and efficient interdisciplinary research should be done based on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