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방한림전>은 남성 주인공이 없고 여성과 여성 간의 동성혼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온 작품으로,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에 비추어 보았을 때 상반된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런데 여기서 두 가지 문제를 제기 할 수 있다. 하나는 여성 간의 동성혼 화소가 여성영웅소설에서 흔히 발견되는 화소라는 점, 다른 하나는 장르관습에 대한 구체적이고 일정한 기준이 부재한 채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기실 장르관습으로부터의 이탈 지표는 특정 화소의 유무 및 변화였던바, 역으로 관습적으로 통용되는 주요화소가 존재한다면, 이 화소를 장르관습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정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여성영웅소설의 주요화소와 서사패턴 중 일부는 <방한림전>을 포함한 여성영웅소설에서 공통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곧 <방한림전>이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을 준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방한림전>의 경우, 주요화소의 결합 순서 및 서사전개 상의 위치에 차이를 보인다. 남장 화소 뒤에 부모부재 화소가 결합하고, 동성혼 화소 뒤에 정체고백 화소를 결합함으로써 남장과 동성혼 화소의 성격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 적강과 천정연 화소가 작품 후반부에 결합함으로써 여타영웅소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에 작자의 문제의식이 개입돼 있다는 사실이다. 동성혼이 방관주의 정체를 은폐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써 인식된 점, 반동인물인 주유랑을 여성영웅소설의 유형적 인물로 설정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무엇보다 영혜빙이 그간 동성혼에서 배제돼 있던 또 다른 여성의 존재를 주목하여 재창조해 낸 인물이라는 사실이다. 영혜빙은 가부장적 질서와 유교 이념에 의해 재현된 여성인물로부터 탈피하여, 가부장제의 여성상을 거부하고 남성젠더와 동등한 지위를 얻고자 한다. 이로 인해 <방한림전>의 동성혼은 남성으로서의 삶과 남성에게 통제 받지 않는 여성의 삶을 살고자 한 여성들의 연대라는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영혜빙은 방관주와의 관계에서도 종속된 존재로서의 여성상을 거부한바, 가부장제의 여성 지위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에 대한 작자의 문제제기이며, 이로써 ‘여성들’의 주체적인 삶에 대한 하나의 모색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Banghanlimjeon has been noted, because it has no male character and the marriage between two women. In view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it has been antithetically evaluated. However, there are two problems: 1)The marriage between two women is the motif commonly found in Heroine Narrative. 2)Banghanlimjeon is discussed without specific standards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In fact, if there are motifs generally used between the narratives, it’s possible to assume that these belong in the same category. Actually, there are primary motifs & narrative patterns in the heroine narrative. It means Banghanlimjeon is based on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However, the changes of bond order and position of primary motifs in the epic make differences. The important thing, these changes are caused by an author who has a critical mind. It is supported by using same-sex marriage and setting antagonist, Joo Yu-Rang, who has a typical character in the heroine narrative. Above all, Yeong Hye-bing is recreated from the female characters who are ruled out of marriage. She comes out of them who are reproduc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nd Confucianism. With this, the same-sex marriage is becoming a solidarity between women who want to live each gender role without patriarchal control. In the end, Banghanlimjeon is created by an author who has a critical mind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