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통합교과 구성 차시 수업에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도에 재직 중인 통합교과 구성 차시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과 구성 차시 수업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분석하고, 이들 간 관계가 어떠한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통합교과 구성 차시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는 지각단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결과단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특히, 지각단계 관심도를 가진 교사 중에 두 번째로 높은 관심도는 운영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과 구성 차시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은 기계적 실행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사용수준이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과 구성 차시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간에는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구성 차시 수업 실행 과정에서 교사 요인을 고려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구성 차시 수업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파악하여 단계별로 향상할 수 있는 연수 및 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blank lessons. To this end, 14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integrated subjects blank lessons in G-do were analyzed for the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in the blank lessons, and a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 in the blank lessons was the highest in the Unconcerned stage, and the lowest in the Consequence stage.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levels of use in the blank lessons was the highest in the Mechanical Use, and the Nonuse was the second highest. Third,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blank lesson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teacher factors in the process of blank less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raining and support system that can improve by identifying the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