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혼모․부자 거점기관에서 사례관리를 실천하고 있는 사회복지 현장의 사례관리자들의 경험 연구이다. 연구자는 사례관리자들의 실천 내용과 어려움 그리고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5명의 사회복지사 자격을 가진 사례관리자들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하였다. 구성된 자료는 Bryman과 Burgess가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여 사례 내, 사례 간 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63개의 사례 내 개별주제와 11개의 사례 간 공통주제가 드러났다. 연구자는 사례 내 개별주제 63개를 도출한 다음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개별적으로 기술하였다. 사례 간 공통주제는 ‘과도한 업무로 소진’(Burn out), ‘클라이언트 저항과 기피로 인한 스트레스’, ‘인정과 사회복지 정의 간의 딜레마’, ‘부족한 자원을 열정으로 보강’, ‘비혼모․부자가족 지지 사업에 대한 몰이해’, ‘최후의 보루로 찾는 비혼모․부자 거점기관’, ‘복지와 여성가족부 사이에 끼인 존재’, ‘핑퐁게임 대상, 클라이언트’, ‘젠더에 가려진 복지’,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한 결과 만들기’, ‘가시밭길의 소망이 모인 클라이언트의 변화’이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여성가족부는 성평등 정책을 추진하는 기관이라는 사실 부각, 젠더의 관점에서 불균등의 한계극복, 지역사회복지 자원 공유, 비혼모․부자가족에 대한 인식개선 사업, 사례관리 실천가들의 윤리적 딜레마를 지원할 수 있는 기관설치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is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of case manage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who practice case management at base organizations for unmarried mothers or fathers and their children.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identify the practice, the difficulties and the causes that influenced their wor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five case managers qualified as social workers. Data were constructed by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study participants. The constructed data were approached with the case study method proposed by Bryman and Burgess and analyzed within and between case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revealed individual topics of 63 within-cases and common topics of 11 cross-cases. The researchers identified 63 individual topics within the case and described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dividually. Common topics among the cross-cases are as follows: “Burnout due to excessive work”, “Stress caused by client resistance and avoidance”, “Dilemma between recognition and social welfare justice”, “Reinforcement of scarce resources with passion”, “Unappreciation of support projects for unmarried mothers or fathers and their children”, “Base organizations for unmarried mothers or fathers and their children as a last resort”, “Being caught between welfare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Clients, the targets of Ping-Pong games”, “Welfare hidden by gender”, “Creating results that are all spin and no substance”, and “Changes in clients who gathered their hopes in the thorny pa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ighlighted the fact that it is an institution that promotes gender equality policies, and discussed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inequality from a gender perspective, sharing of community welfare resources, improving awareness of unmarried mothers or fathers and their children, and establishing institutions to support the ethical dilemmas of case management practitio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