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 전환기 및 중-고 전환기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의 변화를 살펴보고,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의 긍정적인 변화(통제적 동기 감소 및 자율적 동기 증가)에 영향을미친 변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자료를 활용하여 총 6,045명을 대상으로 잠재전이분석과 랜덤 포레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은 전환기 시기에 따라 그 양상이 다소 달리 나타났다. 초-중전환기에는 각각 4개, 5개로 나타났던 프로파일이 중-고 전환기에는 동일한 형태의 4개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이하는 데 있어 초-중 전환기에는 행동조절전략, 교사와의 관계 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친 반면, 중-고 전환기에는 교사 특성, 학습 목표 지향성 등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청소년이 초-중 전환기 및 중-고 전환기를 모두 경험하는 동안 자기결정성 동기 프로파일이 어떠한 형태로 전이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인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하여 이러한 프로파일 전이에 있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profile of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period and middle-high school transition period,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positive transi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random forest analysi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6,045 students us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profile showed somewhat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the transition period. That is, 4 and 5 profiles, respectively, appeared in the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period, and 4 profiles of the same shape appeared in the middle-high transition period. Seco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transition of the self-determination profile to a positive direction in academics also differ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ehavioral control strategie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d a major impact, while in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had a major impact.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stud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profiles changed during both the elementary-middle transition period and the middle-high school transition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ile transition were comprehensively explored by inputting all available variables using data mining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