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구체적인 수행 활동을 통해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국어교육적 방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Fairclough(2010)의 비판적 담화분석 모형과 O’Halloran(2011)의 복합양식 담화분석요소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언어의 의미 요소[기술]’, ‘의미 소통 양상[해석]’, ‘사회문화적 맥락[설명]’의 세 층위로 비판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언어의 의미 요소[기술]’은 텍스트의 의미 구성에 참여하는 언어적 속성과 기호 자원들의 특성, 요소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 것, ‘의미 소통 양상[해석]’은 텍스트, 생산자와 수용자, 텍스트 유통 과정 등에서 의미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 내는 의미를 해석하는 것, ‘사회문화적 맥락[설명]’은 텍스트의 의미 구성에 관여하고 텍스트에서 구성된 의미가 형성하는 사회문화적 가치 및 이데올로기 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후 다문화 대중매체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수행적 활동으로 변환하였다. 일련의 과정은 학습자의 실질적인 수행 활동이 가능한 실효성 있는 다문화 교육 방안을 구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wa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ulti-culture education through learners’ concrete performative activitie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To accomplish this aims, this study suggests three layers framework for critical analysis, “linguistic meaning elements [description]”, “meaning communication aspects [analysis]”, “sociocultural contexts [explanation]”, which are based on the CDA of Fairclough(2010) and the multimodal discourse analysis(MDA) of O’Halloran(2011). Then, this study presents critical analysis elements of mass media texts about multi-cultural phenomena through analyzing real mass media texts, and transfers to performative activit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hain of discussion has a meaning of suggesting an effective method for multi-culture education, that could lead learners to perform authentic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