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영리병원인 제주 녹지국제병원 개설에 대한 최종 공론조사 결과, 시민들은 영리병원 개설 불허와 공공성 악화 반대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공론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존재한 담론과 헤게모니 투쟁을 분석하고, 신자유주의와 발전주의 이데올로기의 산물인 영리병원 개설에 대항한 담론과 헤게모니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모두를 위한 자유와 평등’을 원칙으로 하는 민주주의 체제의 급진화를 위한 헤게모니 구성체 수립의 단초를 탐색하였다. 공론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혼재되어 있는 신자유주의, 발전주의 이데올로기가 영리병원 허가 측의 담론에서 드러났고, 경제권력에 포획된 국가권력과 허가 측 전문가들은 소송 가능성을 이유로 도민들을 협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허가 측의 담론에 건강의 공공성 보장이라는 공동의 민주적 목적을 중심으로 연대한 사회권력이 대항하였다. 불허 측의 건강의 공공성 담론은 건강과 보건의료와 관계된 다양한 도덕적 가치를 명시화하였고, 숙의에서 다루어지는 공공의 의미가 제주도에 한정되지 않고 한국 사회 전체로 확장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준공된 녹지국제병원을 공공병원 혹은 비영리병원으로 전환하자고 제안한 불허 측의 대안은 시장포퓰리즘 담론에 직접적으로 대항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건강과 보건의료를 상품화하고 시장 메커니즘에 그대로 노출시켜 사적 이익 추구를 위해 도구화하는 영리병원은 건강의 공공성 그리고 그와 관계된 도덕적 가치들을 훼손한다. 녹지국제병원 공론조사 사례에서 건강의 공공성을 시민들이 인식하고 동의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건강의 공공성은 신자유주의, 발전주의, 도구적 이성의 헤게모니에 대항하고 있다.


The result of a deliberative poll on the approval of ‘Jeju Greenland International Hospital’, South Korea’s first for-profit hospital, showed that citizens chose to oppose the establishment of the hospital and the deterioration of publicness. This study analyzed discursive and hegemonic struggles that existed during the deliberative poll. It was conducted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hegemonic formation that creates counter-hegemonic politics against neoliberal and developmental orders and moves toward a radicalization of the principles of democratic regime, ‘liberty and equality for all’. Neoliberal and developmental ideologies were vested in the discourses pro-for-profit hospital agents created. Moreover, we were able to find that the state power, captured by the economic power, forced participants of the poll to consent by threatening them with the possibility of lawsuit. On the opponent side, a civic association was formed to oppos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hospital, uniting on the basis of solidarity. Their ‘publicness in health discourse’ presented diverse moral values related to health and its publicness, which provided them the moral leadership to establish hegemony. Also, ‘socialization of conflict’ was delivered through this discourse which led the meaning of ‘public’ to expand to the whole society. In addition, the civil society’s proposal to convert the for-profit hospital to a public or non-profit hospital was perceived as a decent alternative and generated a counter-hegemonic effect against market populism. The establishment of a for-profit hospital, which commercializes health and healthcare and locates these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market, violates moral values and goods pertaining to publicness in health that citizens agree on. Through this analysis, it is clearly elucidated that citizens recognize the moral values of publicness in health. Publicness in health is the source of counter-hegemony that oppose to the hegemony of neoliberalism, developmentalism and instrumental r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