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인 간 외상 경험 청소년의 인지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 그리고 인지정서조절전략과 성장적 반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27명의 데이터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정서조절전략은 성장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적 반추도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성장적 반추는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획인되었다. 셋째, 인지정서조절전략과 성장적 반추,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대인 간 외상 경험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 과정을 검증하고, 대인 간 외상 청소년의 지원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plored (a) the mediating effects of reflectiv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b)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reflective ruminat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331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flect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reflective rumin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post-traumatic growth. Second, reflective ru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effects of reflectiv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verified the process of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proposed practical measures to support interpersonally traumatized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