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숙달도에 따른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거절 화행을 분석하여, 거절 화행에 나타나는 주요 거절 전략과 함께 포즈의 사용 양상을 학습자의 언어 습득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전반적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거절 전략을 구사할 때 직접 의미구의 수가 감소하고, 거절 전략의 결합 구성에서도 일본어 모어화자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둘째, 고급 학습자로 갈수록 하위 거절 전략의 유형이 증가해 다양화되었지만, 개인에 따른 하위 거절 전략의 사용 폭이 줄어 안정적인 사용 양상을 보였다. 셋째, 고급 학습자로 갈수록 일본어 모어화자가 선호하는 이유와 필러라는 하위 거절 전략 내용이 증가해 일본어 모어화자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넷째, 일본어 모어화자에게는 중심 거절 발화가 시작할 때 일정한 시간을 확보한 후 발화하는 시간이라는 요소를 활용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학습자에게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fusal speech act of Korean Japanese learners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And the use of pause along with the main refusal strategy shown in the refusal speech act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s language acquisition. The overal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direct semantic phrases decreased when learners used the refusal strategy from beginner to advanc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refusal strategy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the native Japanese speaker. Second, the types of sub-refusal strategies increased and diversified as they progressed toward advanced learners. However, they showed stable usage of sub-refusal strategies according to individuals. Third, the reason why native Japanese speakers preferred and the content of the filler sub-refusal strategy increased as they progressed toward advanced learners, showing a similar pattern to native Japanese speakers. Fourth,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a certain amount of time was secured when the central refusal utterance started and then uttered. It showed the aspect of using the element of time. However, it did not stand out for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