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습자 만족도 평가에 AI 기술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의 만족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AI 안면감정인식 기술과 텍스트 감성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평가 수행의 시각에서 면밀하게 분석하는 탐색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 평가를 위한 인터뷰에 응답하는 학습자의 얼굴 표정에 나타난 감정을 분석한 결과, 교육 훈련에 대한 감정보다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얼굴 표정이 우선적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학습자가 만족도 평가를 위한 인터뷰에 응답한 내용에 나타난 감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가 만족도 평가를 위한 인터뷰에 응답한 내용에 나타난 감성을 분석한 결과, 긍정, 부정, 중립의 감성이 고루 나타났다. 셋째, 인터뷰에서 관찰된 안면감정과 텍스트 감성 패턴을 연구자의 예측 패턴과 매칭한 결과, 안면감정보다는 텍스트 감성의 일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학술적, 실천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형화되었던 설문조사 방법 대신 AI 기술을 적용하여 인터뷰 방법을 활용한 평가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AI technology to evaluate learner satisfaction. To this end, we conduct an exploratory case study that collects learner satisfaction data through interviews, analyzes the data using AI facial e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and text emotion analysis technology, and analyzes the process and results in detail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ing evaluation.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otions shown in the facial expressions of learners responding to the interview for satisfaction evaluation, the basic facial expressions of the individual were recognized preferentially rather than the emotions about education and train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otions expressed in the contents of the learner's responses to the interview for satisfaction 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motions expressed in the contents of the learner's responses to the interview for the satisfaction evaluation, the emotions of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were found evenly. Third, as a result of matching the pattern of facial emotion and text emotion observed in the interview with the researcher's prediction pattern, it was found that the matching rate of text emo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acial emotion. The implications of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drawn, and academic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evaluate using the interview method by applying AI technology instead of the standardized survey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