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테제와 이를 수정하고 극복하여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옹호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크라시아론 각각이 고대 그리스 비극의 철학적 가치에 관한 두 철학자의 양립 불가능한 태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논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일련의 논의의 출발점은 플라톤이 어떤 정치적인 의도에서 일상의 경험에 배치되는 아크라시아 불가능성 테제를 역설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의 논변을 정면으로 반박하면서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항변하게 됐는지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다. 우선 플라톤의 논변과 관련하여 구술 문화와 문자 문화라는 보다 폭넓은 인류학적 전통에서 철학과 시(詩) 사이의 오랜 불화라는 플라톤의 정치 철학적 관점에서 소크라테스의 아크라시아 부정 테제에 대한 탐구를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아크라시아의 원인이 무지라는 그의 주장이 사실상 아크라시아 현상을 옹호했던 시(詩)에 대해 플라톤이 가했던 주지주의적 철퇴임을 밝힐 것이다. 다음으로 플라톤과 대조적으로 아크라시아의 성립 가능성을 견지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을 추적할 것인데, 그가 앎과 무지의 성격 각각을 규명하고 무지가 발생하게 되는 기제를 면밀하게 파헤침으로써 플라톤의 아크라시아 개념을 수정할 뿐 아니라 이를 새로운 차원에서 재정립시키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킬 것이다. 왜냐하면 앎의 소유와 활용, 개별 전제의 활성화 문제 그리고 완전한 지식의 소유 여부 등에 대한 후속 논의를 통해 그는 아크라시아적 행동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욕구와 같은 감정을 지적함과 동시에 숙고를 거쳐 참된 앎을 갖고 있어도 구체적인 상황에서 감정에 이끌려 도덕적 행위에 실패할 수 있는 유약한 부류의 아크라테스 논의를 통해 자신의 아크라시아론을 개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각각의 아크라시아론의 의미와 한계를 비교 검토한 후 두 철학자가 아크라시아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갖게 된 이유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다뤄질 것이다. 시의 중요 장르인 비극과 그것의 가치를 두고 두 철학자가 취한 상반된 태도를 살펴본 다음, 시에 대한 그 둘의 태도와 각자의 아크라시아론이 상호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주장할 것이다. 전반적으로 시에 적대적이었던 플라톤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이 갖는 철학적 가치를 긍정적으로 수용했다는 데서 이성과 감정에 대한 두 철학자의 태도가 극명하게 갈리기 때문이다. 의식의 진화에 대해 말하자면, 구술성과 그것에서 연원하는 문자성의 성장 둘 다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플라톤을 넘어서 철학과 시 둘 다를 수용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혜안이 더욱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탈진실 시대에는 이성이란 악기 독주자가 지휘자도 겸한 상태에서 감정이나 욕구 등과 같은 오케스트라와 경쟁하듯 협력하는 ‘성찰적 절충주의’라는 콘체르토가 더 큰 울림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Socrates’ Akrasia impossibility thesis and Aristotle’s Akrasia theory, which defends the possibility of Akrasia by analyzing and overcoming Socrates’ arguments concerning Akrasia. These theor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compatible attitudes of the two philosophers regarding the philosophical values of ancient Greek tragedy. The starting point for a series of discussions on this is the political intention of Plato to emphasize the thesis of the impossibility of Akrasia and for what reason Aristotle directly refutes Socrates’ argument and protests the possibility of Akrasia. First of all, in relation to Socrates’ argument, I explore Socrates’ rejection of Akrasia from Plato’s political philosophy, that is, the old quarrel between philosophy and poetry in the broader anthropological tradition of oral culture and written culture. Through this, it will be revealed that his claim that the cause of Akrasia is moral agents’ ignorance is in fact an intellectualist attack byPlato against the poetry that defended the Akrasia phenomenon. Next, I will trace Aristotle’s argument, which maintained the possibility of Akrasia in contrast to Plato and also highlight the fact that Aristotle’s view on the possibility of Akrasia is being re-established on a new level. Through subsequent discussions on the ‘possession’ and ‘use’ of knowledge, the issue of activation of individual premises and whether or not complete knowledge is possessed, he points out that emotions such as desire are the cause of Akratic behavior. This is because he is promoting his theory of Akrasia by discussing the weak type of Akratēs that can fail in moral action in its being driven by emotions in specific situations. After comparing and examining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each of Plato and Aristotle's take on Akrasia theory, a discussion on why the two philosophers took opposing positions on Akrasia will be dealt with in earnest. After examining the opposing attitudes taken by the two philosophers on tragedy and its value, I argue that their attitudes toward poetry and their respective theories of Akrasi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is because, unlike Plato who was generally antagonistic to poetry, Aristotle positively accepted the philosophical value of tragedy, as the attitudes of the two philosophers towards reason and emotion are sharply different. As for the evolution of consciousness, Aristotle’s insight beyond Plato to accept both philosophy and poetry will shine even more because both the oral and the growth of the literality it derives from are essential. In this post-truth era, a concerto called ‘reflexive eclecticism’, in which a soloist of reason, also as a conductor, cooperates as if competing with an orchestra such as emotions and desires, will give greater reso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