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읽기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 얼마나 다양한 아동 대상의 읽기 교재가 출간되고 있는지 조사하고, 더 나아가 현행 아동 중국어 교재가 ‘배움을 위한 읽기’나 ‘즐거움을 위한 읽기’ 목적의 교재로 적합한지 고찰하였다. 중국어 읽기의 목적은 ‘배움을 위한 읽기’와 ‘즐거움을 위한 읽기’로 나눌 수 있다. 중국어 읽기 교육은 일반적으로 중국어 능력의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배움 목적의 읽기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아동의 경우 문자 언어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문학 능력을 함양하는 시기이므로 즐거움 목적의 읽기 교육도 상당히 중요하다. 그런데 초등 교육의 지침이 되는 교육과정은 중국어 교과를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고는 중국어 읽기 교육 관련 이론, YCT, 초등 영어 및 국어 교육과정을 토대로 초등학생 대상의 중국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현행 아동 중국어 교재를 검토한 결과, 현재 아동 중국어 읽기 교재는 4종에 불과하였다. 이 중 집중형 읽기나 확장형 읽기의 구성을 갖춘 교재는 1종뿐이었다. 따라서 본고는 이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소재, 읽기 자료,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배움 목적이나 즐거움 목적으로 초등학생이 배우기에 적합한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즐거움 목적의 교재 요건은 대체로 충족하지만 배움 목적의 교재로는 개선의 여지가 많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중요시되는 현시대에서 아동의 읽기 능력을 함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배움과 즐거움의 읽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읽기 교재가 다양하게 출판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study examines how Chinese read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is, the study investigated how many different reading materials for children are being published in Korea, and further investigated whether the current Chinese textbooks for children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reading for learning’ or ‘reading for pleasure’. The curriculum guiding elementary education does not include Chinese subject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theory of Chinese reading education, YCT, and elementary school English and Korean curriculum were studied to find out how Chines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urrent Chinese textbooks for children based on the study, currently there are only four Chinese reading materials for children. Among them, only one textbook had the composition of intensive reading or extended reading. Therefore, the study set this only textbook as a subject of the study and examined whether the book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reading for learning’ or ‘reading for pleasu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nalysis of the topics, reading material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 result showed there was a lot of room for improvement as a textbook for the purpose of learning, although the requirements for textbooks for the purpose of pleasure were generally satisfying. Developing children’s reading skill is very important in modern days where digital literacy is important. For this purpose, it is hoped that various reading materials that can achieve both purpose of ‘reading for learning’ and ‘reading for pleasure’ to b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