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곤나 모노(こんな+もの)」가 나타내는 부정적 평가성의 발생구조를 고찰하였다. 먼저 「곤나(こんな)」자체가 가진 평가성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일본어 코퍼스 BCCWJ를 이용하여 「곤나(こんな)+형용사+모노(もの)」문장과 「곤나(こんな)+모노(もの)」문장의 사용양상을 비교한 다음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곤나(こんな)+모노(もの)」의 평가성 발생구조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곤나(こんな)+형용사+모노(もの)」가 사용된 문장은「의외성」을 나타내는 예문이 35개로 「부정적」으로 해석되는 예문 16개보다 많이 나타났으며,「곤나(こんな)+형용사+모노(もの)」의 연체구에는 형용사의 부정적・긍정적 의미와 상관없이 「곤나(こんな)」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곤나(こんな)」가 「모노(もの)」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형용사로써 속성이 규정된 「모노(もの)」를 집단화, 또는 범주화 시켜서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화제의 근거로써 사용되고 있다고 보인다. 한편 「곤나(こんな)+모노(もの)」가 사용된 문장은 「부정적」으로 해석되는 용례수가 206개로 「의외성」용례수 80개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특별한 부정적 표현이나 놀라움, 감탄의 표현은 없지만 대상을 그룹화 하여 나타내는「제시」표현의 예도 70개가 나타났다. 이는 「모노(もの)」의 속성이 정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수식관계를 만들어 「곤나(こんな)」가 「모노(もの)」를 억지로 범주화 시켜 버리기 때문에 범주화를 꺼리는 일본어 언어문화에서는 이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하여 부정적 뉘앙스가 발생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occurrence structure of why negative evaluativeness occurs in「konna+mono」. First of all, by using the Japanese corpus BCCWJ, the evaluation of「konna」itself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usage patterns of「konna+adjective+mono」and 「konna+mono」sentences. And the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tructure of the occurrence of evaluation of「konna+mono」was considered. As a result, the sentences which「konna+adjective+mono」 was used had a high ratio of showing「unexpectedness」. 「konna」 does not evaluate whether 「mono」is negative or positive. It is thought that 「mono」, whose attributes are determined by adjectives, is categorized and used as the basis for the topic that the speaker wants to talk about. Meanwhile, the sentences in which「konna+mono」 was used, had a high rate of negativeness. Even though the attributes of mono have not been determined, it is a direct modifying relationship that forces 「konna」to categorize 「mono」, so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sense of rejection in the Japanese language culture that is reluctant to categoriz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