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20~30년대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않았던 김동인의 해방기 소설에 주목하여 해방 후 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세대론을 논의해 보고자 했다. 해방기 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청년상은 당대 사회의 주요 청년 담론과 다소 상이하다. 해방기 사회는 청년을 ‘순수한’ 국가 건설의 주역이라 명명했으나 실제 해방기 청년은 기성 세대에게 복종하며 그들을 대신하여 ‘더러운 일’을 수행했다. 주목할 것은 해방기 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세대론이 청년을 새로운 정치적 주체로 호명한 당대 주요 담론이 아니라 정치적 목적 하에 청년을 동원하고자 했던 실제 기성 세대의 세대 인식과 닮아있다는 점이다. 김동인은 「송 첨지」, 「학병 수첩」, 「김덕수」에 걸쳐 기성 세대의 식민 경험을 특권화하는 한편 청년 세대를 민족의 오욕으로 표상하여 기성 세대를 청년 세대의 계몽자로 위치시켰다. 이와 같은 김동인의 세대론에는 대일 협력 문제를 세대 문제로 전환하여 대일 협력 문제의 핵심을 은폐하고자 하는 의도가 내장되어 있다. 나아가 해방기 김동인의 세대론은 새로운 정체성 형성이 요구되었던 해방기의 시대적 상황과도 결부된 것으로, 반공 체제가 본격화되기 이전, 대일 협력의 문제로 민족 정체성에 귀의할 수 없었던 김동인은 역사 속에 닻을 내리기 위해 세대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tried to discuss the generation theory that appeared in Kim Dong-in's novels after liberation by paying attention to Kim Dong-in's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hich had not received much attention compared to the 1920-30s. The image of youth in Kim Dong-in's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major discourses on youth in contemporary society.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society called the youth of the time a “pure” nation-building leader, but in reality, the young obeyed the older generation and performed the dirty work on their behalf.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 generation theory in Kim Dong-in's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s not the ideal youth image based on the mainstream discourse of the time, but is similar to the real youth mobilized by the older generation. Kim Dong-in privileged the colonial experience of the older generation through ‘Song Cheomji.’, ‘Student Soldier's Record’, and ‘Kim Deok-soo’ while representing the younger generation as the national disgrace, positioning the older generation as the enlightener of the young. Kim Dong-in's generation theory can be said to have an inherent intention to move away from the core of the problem of cooperation with Japan by turning the problem of cooperation with Japan into a problem of generations. Furthermore, Kim Dong-in's generation theor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s also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which required the formation of a new identity. Kim Dong-in, who could not return to national identity due to the cooperation problem with Japan before the anti-communist system becomes serious, actively used generation identity to anchor i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