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질투와 적대적 귀인편향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42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체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질투와 적대적 귀인편향의 부분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남자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질투와 적대적 귀인편향의 완전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여자 대학생의 경우, 거부민감성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질투와 적대적 귀인편향의 부분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녀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개입에 있어 인지적ㆍ정서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이전에 연구되지 않았던 남자 대학생을 대상에 포함하여 거부민감성과 질투, 적대적 귀인편향,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jealousy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28 college students aged 18 and older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jealousy, hostile attribution bias, relational aggres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jealousy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showed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college students. Third, jealousy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showed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men college students. But, the direct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al aggression was insignificant. Finally, jealousy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showed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women college students. These result suggest tha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eutic approaches for jealousy and hostile attribution bias will be effective at reducing their relational agg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