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이바지하는 기제를 탐색하고, 그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 및 문제 중심대처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의 남녀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5 요인 마음챙김 척도(FFMQ),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 특질 상위 기분 척도(TMMS), 단축형 스트레스 대처 양식 척도(The Brief COPE)를 사용하였다.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마음챙김은 심리적 안녕감, 정서인식 명확성, 문제 중심 대처 모두를 정적으로 예측했다. 둘째, 정서인식 명확성은 문제중심 대처와 심리적 안녕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문제 중심 대처는 심리적 안녕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문제 중심 대처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마음챙김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기여하는 기제를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역량뿐 아니라 문제중심의 대처능력 발휘가 중요함을 밝혔다.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발달 전환기에 놓인 대학생 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위한 개입의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roblem-focused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320 university students collected through a on-line survey company panel. The measures are the Five-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rait Meta-Mood Scal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Coping Orientation to the Problems Experienc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 Results First, the level of mindfulness had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clarity, problem-focused coping, psychological well being. Second, emotional clarity predicted problem-focused coping, psychological well being positively. Third, problem-focused coping predicted psychological well being positivel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path sequentially mediated by emotional clarity and problem-focused coping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 plan for emotional clarity and problem-focused coping should be prepared along with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mindfulness to enforc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university students. This conclusion indicates that the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sis for research of interventions to help university students increase psychological well 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