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언론과 정치권에서 시작해 한국 사회에 마치 ‘출몰’한 존재로 다루어져 온 이른바 ‘이대남’은 페미니즘 대학 강의실에서도 어려운 존재다. 본 논문은 그러나 이들이 한국 사회에 급작스레 나타난 존재가 아니라 지금 정치권의 실세, 80년대의 20대 남성 ‘586’의 ‘진화’된 존재라고 주장한다. ’87 민주화 체제 이후에도 지속된 여성에 대한 성차별, 그간 누적된 성폭력에 대한 고발 #미투는 이른바 ‘민주화 세력’이 실질적 민주주의를 향한 노력에 게을렀음을 방증한다. 이 두 세대 남성의 공통적 특징은 이념과 구호가 내건 기표에 정서적으로만 현혹될 뿐 그들이 열망하거나 혐오하는 이념에 대한 착실한 기의 구성 노력이 없는 반지성주의적 태도다. 이런 맥락에서 페미니즘의 의미도 모른 채 캠퍼스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극불호의 정서를 감추지 않는 20대 남성을 위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전략으로 본 논문은 그간의 연구 성과와 더불어 ‘실천적 기의 구성’과 ‘선한’ 윤리로서의 페미니즘 교육을 제안한다.


‘Korean male youths in their 20s’ (KMY) [ee-dae-nahm] which has been noticed by political circles and the press during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s a ‘target group’ for feminist instructors’ teaching because of their notorious resistance to feminist ideologies advocating social minorities such as the differently abled, foreigners, and women. This paper assumes that these young men are ‘evolving ones’ from men of a generation ahead, who were so-called ‘protagonists of democratization of Korea’ during the 80s when they were in their 20s (PDK). One of the commonalities these two generations of men, who are apparently different in terms of political orientations, share is anti-intellectualism which drove them into an extreme level of affect such as hatred for feminism for KMY and aspiration for democracy for PDK without intelligent approaches to ideologies each of them are hateful of and longing for. In this vein, construction of the signified for the signifiers of feminism and recognition of individual practice of doing good to others based upon feminisms have been suggested as a few promising feminist pedagogical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