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how” the Exodus theme is used in the bowl judgments. The Exodus theme has been used in the structure and in the content of the book of Revelation. Structural allusions can exert a strong influence on the content of Revelation. The structural understandings of an exile-return pattern and the repeated occurrences of theophanic elements are helpful to understand the whole content of Revelation. Both structural understandings show that the function of plagues is not only for judgment/destruction but also for the completion of salvation/restoration. This understanding is suitable for the reappearances of “one of seven angels who had seven bowls” twice (Rev 17:1; 21:9) after the execution of the bowl judgments to show the destruction of Babylon and the restoration of Jerusalem. The usages of the Exodus theme within the bowl judgments are categorized in five ways. (1) The Exodus theme is used as a basic motif of judgment. (2) The Exodus theme can be altered by combinations with Jewish or Greco-Roman traditions, (3) by extensions in the objects/area or reinforcements in the severity of the judgment, (4) by changes in the applied direction of salvation/judgment element, and (5) by personification (e.g., frogs in the sixth bowl; cf. locusts in the fifth trumpet). Additionally, the judgment element contrasts with God’s promise for his people in the content of Revelation itself. This additional pattern does not always use the Exodus theme.


본 연구는 요한계시록의 대접 심판에서 출애굽 모티프가 “어떻게” 사용되느냐에 대한 연구이다. 출애굽 모티프의 사용은 요한계시록에서 구조 안에서 그리고 본문 안에서 발견된다. 출애굽 모티프의 구조적 사용은 더 넓고 강력하게 본문의 의미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exile-return의 관점에서 분석한 구조적 병행과 신의 현현 관점에서 분석한 구조적 병행은 출애굽 모티프가 요한계시록 전체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잘 보여줄 뿐 아니라, 재앙 시리즈가 심판과 파괴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구원과 재건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이 두 구조적 이해는 “일곱 대접을 가진 일곱 천사 중 하나”가 일곱 대접 심판이 실행된 이후에도 다시 두 번 등장하여 “음녀가 받을 심판”(17:1; cf. 바벨론의 멸망, 17-20장)과 “어린 양의 아내”(21:9; cf. 새 예루살렘의 성취)를 보여주는 이유를 잘 설명한다. 또한 대접 심판 본문 안에서 발견되는 출애굽 모티프 사용은 다섯 개의 카테고리로 정리될 수 있다. (1) 출애굽 모티프(특히 애굽 재앙 시리즈)가 심판의 기본 모티프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출애굽 모티프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2) 다른 (유대 혹은 그리스-로마) 전통들의 심판 요소들과의 결합, (3) 심판의 범위의 확대 혹은 강도의 심화, (4) 심판/구원 요소들의 반대 적용 (예를 들면, 출애굽기에서의 구원 요소가 요한계시록에서 심판 요소로적용돔), (5) 의인화 (예를 들면, 다섯 번째 나팔 심판에서 황충과 여섯 번째 대접 심판의개구리). 그리고 추가적으로 요한계시록 문맥 안에서 하나님의 백성들을향한 하나님의 약속의 내용과 대조되는 내용으로 심판의 내용이 나오기도 한다. 이것은 출애굽 모티프 사용과 상관없을 때도 많지만 이원적으로메시지를 전달하는 계시록 안에서 반복적으로 발견되는 패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