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recent decades, as interest in Abraham Kuyper (1837-1920) has grown worldwide, the Korean church has gradually increased its attention to Kuyper’s Neo-Calvinism, as well as his Reformed theology. In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uyper and the Korean church, a brief overview of the Korean church and its problems was presented, concluding that Kuyper’s specific theme might contribute to resolving those issues. In this paper, I examine the acceptance trends of Kuyper in the Korean church throughout Korean Protestant history as a whole in order to suggest a proper direction for future acceptance, particularly in regard to his Neo-Calvinism. Firstly, I outl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of Dutch theology within the history of Korean Protestantism. Secondly, through analyzing most academic papers and translations on Kuyper since the first academic work in the 1960s, I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nd of Kuyper’s acceptance in the Korean church. By this analysis, I argue that when applying Kuyper’s specific themes to the Korean church or academic disciplines, we should consider his broader and more organically related themes together. In future acceptance of Kuyper’s Neo-Calvinism, the shared content found in both the Dutch Neo-Calvinism revival and the Korean church revival should serve as an evangelical foundation that should be maintained and enhanced. In addition, the future acceptance of Neo-Calvinism needs to refer more to Herman Bavinck in terms of principle, and Kuyper in terms of content, rather than following the incomplete traces of Neo-Calvinism.


최근 수십년 동안 세계적으로 아브라함 카이퍼(1837-1920)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한국 교회에서 카이퍼의 개혁신학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는 가운데 그의 신칼빈주의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카이퍼와 한국교회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한국교회와 그 문제점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시하고 카이퍼의 특정 주제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 전체 역사 속에서 한국 교회가 과거부터 최근까지 카이퍼를 수용하는데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여 그의 신칼빈주의의 향후의 수용을 위한 적절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첫째,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의 전체 역사의 맥락에서 네덜란드 신학이 한국 교회에 도입되고 확립되는 역사적 배경을 개괄하였다. 둘째, 1960년대 카이퍼에 대한 첫 학술 저술 시기부터 현재까지 카이퍼에 대한 대부분의 학술논문과 번역서를 분석하여 한국교회에서 카이퍼의 수용 경향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나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카이퍼의 특정 주제를 한국 교회 내 이슈나 또는 다른 학문 분야에 적용할 때 카이퍼의 보다 광범위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된 관련 주제들이 함께 고려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카이퍼의 신칼빈주의에 대한 향후 연구에서, 네덜란드의 신칼빈주의 부흥과 한국교회의 부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내용은 유지되고 강화되어져할 복음적 토대가 되어야 한다. 나아가 신칼빈주의의 불완전한 과거 자취를 따르지 않기 위하여 신칼빈주의 수용시 원리적인 측면에서는 바빙크를,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카이퍼를 보다 참조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