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the past decades, the interest in the role of church in public area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However, the research so far has been focused mainly on publicness of church itself from a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urch needs to be involved in the public realm from a more practical perspective. As a Dutch Neo-Calvinist pastor, theologian, and politician in the nineteenth century, Abraham Kuyper wrestled with the church’s public engagement. More specifically, his ecclesiology is the basis of his idea regarding this topic. In unpacking his ecclesiology, Kuyper divides the nature of church into the two: church as institution and church as organism. Also, sphere sovereignty is a pivotal concept for grasping his view regarding this topic in that sphere sovereignty deals with the pluralistic structure of society. On the basis of these concepts concerning church and society, Kuyper suggests how Christianity can be engaged in public square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ndirectly as church as institution and directly as church as organism. In the first step, this article analyzes what the church’s public engagement looks like on Kuyper’s ecclesiology and investigates how it can be practiced in the real life. Then, this article turns to Korean context. Kuyper’s idea regarding church’s public engagement has an implication in the contemporary Korean context. Because Korean church has been strongly entrenched in the privatization of Christian faith, practicing the faith in the public realms is difficult challenge. In this sense, Kuyper’s idea is useful in finding the way the Korean church engages in the public areas. Specifically, Kuyper’s concepts of ecclesiology and sphere sovereignty help Korean church, which tends to go toward Christendom, evade the problem of Christendom.


최근 수십 년 안에 공적인 영역에서의 교회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그 연구는 이론적이고 철학적인 관점에서 교회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왔다. 하지만 이제는 좀 더 실천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교회가 공적인 영역에 참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19세기 네덜란드 신칼빈주의의 목사이자, 신학자이자, 정치인이었던 아브라함 카이퍼는 교회의 공적인 참여에 대해 씨름했던 인물이다. 특히, 그의 교회론은 이 주제에 관한 그의 생각의 기초를 이룬다. 그의 교회론을 전개하면서, 카이퍼는 교회의 본질을 두 가지로 나누는데 그것은 제도(institution)로서의 교회와 유기체(organism)로서의 교회다. 또한, 영역 주권(sphere sovereignty)은 이 주제에 대한 그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이런 개념들 위에서 카이퍼는 기독교가 실제적으로 어떻게 공적인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을 한다. 본 논문은 우선, 카이퍼의 교회론 위에서 기독교의 공적 참여의 모습을 파악하고, 그것이 어떻게 실제로 구현될 수 있을지를 모색한다. 또한, 이와 같은 카이퍼의 생각은 현대 한국의 상황에도 적실한 의미를 갖는다. 한국 교회 역시도 오늘날 교회의 공공성에 대한 관심의 폭증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던져지는 질문은 기독교가 어떻게 공적인 영역에 참여할 수 있고, 또 해야 하는가이다. 한국 교회는 전통적으로 사사화 된 신앙에 강하게 기초되어 왔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서 답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런 의미에서 카이퍼의 생각은 한국 교회의 공적인 참여의 방법을 논구 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특히, 카이퍼의 교회론과 영역 주권의 개념은 자칫, 기독교 왕국 (Christendom)의 색채를 띨 수 있는 한국 교회가 그 문제를 피해 갈 수 있는 방향을 설정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