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이기 아동의 사회정보처리 발달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취학 전(T1)과 초등학교 1학년 말(T2)에 사회정보처리과정의 단서해석, 반응탐색, 반응결정 단계를 평가하는 한국판 STEP-P 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시기 연구에 모두 참여한 아동 44명(남아 24명, 여아 2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엑셀을 이용하여 KR-20 신뢰도 분석을,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교 취학 전 시기보다 초등학교 1학년 말에 단서해석 단계의 정서인식정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취학 전 시기보다 초등학교 1학년 말에 반응탐색 단계에서 더 많은 문제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반응결정 단계의 협력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공격적 반응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서 초등학교 취학 전후 시기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초등학교 1학년 말 시기에 협력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공격적 반응결정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이기의 사회정보처리과정 변화를 분석하여 사회적 발달 양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이 시기의 사회성 지도 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for children in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a south Korean version of STEP-P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eps of analyzing clues, searching for responses, and determining responses in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T1) and at the end of first grade (T2). For the data of 44 children (24 boys and 20 girls) who participated in both period studies, KR-20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xcel,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recognized emotions more accurately at T2 than T1. Second, children presented more problem-solving solutions at T2 than T1.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1 and T2 in the response decision step. Specifically, at the end of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cooperation was evaluated more negatively and aggressive response decisions were evaluated more posi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 the changes in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before elementary school and present specific aspects of social development, thereby providing specific implications for social guidance measures during this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