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디지털 기술변동이 독립 음악가들의 지위와 창작조건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이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저예산으로 개인이 직접 음악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와 같은 창작환경의 변화가 음악산업의 진입장벽을 완화하여 1인 창작자들과 독립 음악가들을 증대시켰다는 것에 주목한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 과정이 독립 음악가들의 자율성과 권한을 일면적으로 확대하기보다는 음악시장의 분절을 유지, 강화하여 음악가들의 창작조건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도 동시에 발견하였다. 디지털화의 과정에서도 긱노동에 의한 불안정성은 지속되고 있으며, 소수의 스타 음악가와 다수의 불안정한 음악가들 간 분절도 오히려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디지털 불안정성이 음악가들의 원자화와 주변화로 귀결되는 것만은 아니라고 결론을 맺고 있다. 음악가들은 사회적 네트워킹을 통해 리스크를 재사회화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디지털화가 개인화와 원자화의 일면적 경향을 촉진한다는 가설을 기각하고, 현대 음악가들이 협업을 위한 동료공동체를 구성하면서 집단화의 동력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을 입증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ical change on independent musicians’ working condition and live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ve lowered entry barriers for independent musicians and allowed them to control over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ir music. Yet, this process has not unilaterally resulted in the increase of indie musicians’ resources and power. Most of freelance musicians are self-employed gig workers, and they lack an on-going employment contract. They are also not protected by employment law.The digitalization of music industry has intensified the problem of insecurity, as the large reserve of musicians has pushed down pay and other labor standards. However, this article does not conclude that this process has only resulted in the atomization of musicians. Indpendent musicians have also taken steps to re-socialize their individual risks by relying on social networking. This article underlines the constructive process of peer community that comes from an ongoing co-operative working relationships and musical collab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