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국어 초점 구문인 분열문(Cleft sentence)과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분열문 및 중국어 준분열문(Pseudo-cleft sentence)을 대조하면서 그들의 생성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분열문은 유사하지만, 한국어 분열문은 주어, 목적어, 일부 부사어를 초점화할 수 있고, 중국어 분열문은 주어, 일부 부사어를 초점화 할 수 있으며 중국어 준분열문은 주어, 목적어를 초점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 한국어 분열문과 대응하는 중국어 분열문, 준분열문은 섬-제약과 결속이론을 준수하는데, 이는 이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증거를 제공한다. 본고는 이동분석으로 한국어 분열문을 분석하고, 이를 중국어 분열문과 준분열문 분석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분열문 도출과정에 따라 한국어 분열문과 중국어 준분열문의 생성과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열 가능 성분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 분열문과 중국어 분열문이 유사하지만, 도출과정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 분열문과 중국어 준분열문이 더 유사하다.


In this paper, we compare Korean Cleft sentences with their Chinese Cleft sentences and Chinese Pseudo-cleft sentences. It also explores the production process of Cleft sentences. Korean Cleft sentences are very similar to Chinese Cleft sentences,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First of all, Korean Cleft sentences can mark the subject, object, and some adverbs as the focus of the sentences. Meanwhile, Chinese Cleft sentences can mark the subject and part of the adverb as the focus of the sentences while Pseudo-cleft sentences can only mark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addition, Korean Cleft sentences and their Chinese counterparts, both Clefts and Pseudo-clefts, obey the Island constraint and Binding Theory.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Movement analysis. In this paper, we use movement analysis to analyze Korean Cleft sentences and apply it to Chinese Cleft sentences and Pseudo-cleft sentenc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plit sentences in the two languages are examined. Korean Cleft sentences are similar to Chinese Cleft sentences at the level of considering marker focus components, while Korean Cleft sentences are more identical to Chinese Pseudo-cleft sentences at the level of generative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