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 한자음 연구에 있어서 ‘유추’에 대한 재고찰이다. 우선 유추 현상의 정의 및 제약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정의와 제약의 측면에 모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한국 한자음 연구에 있어서 응용되는 유추론도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유추의 대상인 이른바 속음에 대한 검토가 부족했다. 본고는 중세시기부터 근대까지 속음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속음을 오독음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나아가 유추가 이루어진 원유 및 유형을 살펴보면서, 어휘부에서 인접한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연속 발음에서도 유추음이 나타날 수 있다고 재논의하였다. 나아가, 더 정밀하게 유추 현상을 고찰하기 전에 오독이라는 전제를 만족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유추 현상의 판별을 위한 5가지 기준을 제시해 보았다.


This article first examined the definition and restrictions of the analogy. It discussed that both the concept and constraints of analogy have limitations. Furthermore, it considered that there were some problems with analogy theory applied in the study of Sino-Korean. In particular, it has emphasized that there are lacking examinations of so-called Korean customary readings, which is one of the main objects of analogy in past studies. Based on the discussion of customary readings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customary reading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misreading. Furthermore, while looking at the reason and type of the analogy in Sino-Korean, it also discussed that analogy could appear in continuous pronunciation when stored in an adjacent location in the lexicon. Furthermore, five methodologies for discriminating analogies were presented, emphasizing that the premise of misreading should be satisfied before considering it as an analogy phenome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