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시각문화 미술교육 담론에 근거한 내용 요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새로운 미술교과서 개발시 그 결과를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이를 반영한 시각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요소를 재구성하여교육과정과 교과서 단원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문헌 연구 중에서도 질적 내용 분석의 방법으로 연구를진행하였다. 결과 문헌 연구 결과, 시각문화 관련 미술교과서 단원에서는 대부분 시각이미지의 전달 방식, 시각문화의 매체 특성, 사회적 맥락속에서 시각이미지의 의미 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미술작품과 협의적 의미의 시각문화 간의교류, 시각적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는 시각이미지의 체험 등의 내용은 부족하였다. 결론 2022년 교육과정을 적용한 새로운 미술교과서를 개발할 경우 시각문화 미술교육과 관련된 최근의 학문적 동향을 반영하고2015 교육과정에 기반한 미술교과서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 요소들을 좀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discourse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new art textbook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tudies and to analyze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relevant textbook units by restructuring the goals and content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n the literature, a researcher have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to conduct studies. Results The literature search showed that most of the sections of art textbooks related to visual culture mainly featured content that sought to understand the mode of transmission of visual image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visual culture, the meaning of visual images in a social context. However, content on the exchange between artwork and the visual culture of the narrow meaning and the experience of visual images that can foster visual enjoyment were lacking. Conclusions When developing a new art textbook that applies the 2022 curriculum, the textbook should reflect recent academic trends related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so that more elements of content that are not covered in the ar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can be inclu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