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천주교 역사 연구는 좀 더 역사적 기록에 토대를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는 새로운 역사적 기록의 발굴과 분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로서 안정복 관련 자료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안정복의 기록을 통하여 한국 천주교 설립 초기의 동향에 관하여 기초적인 사실 몇 가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것은 대략 세 가지로 추릴 수 있다. 첫째, 1784년 갑진년에 한양에서 처음으로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람들이 모여서 공동체를 결성한 일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인물들은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돌아온 이승훈, 이승훈에게 대세를 받은 뒤 천주교 공동체 결성을 주도하였던 이벽, 그리고 이벽의 설득으로 천주교 세례를 받고 교리를 공부하던 정약전, 정약용, 권일신 등이었다. 이들은 뜻을 모아 1784년 한양에서 천주교 공동체를 만들게 되었다. 본고는 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탐구하였다. 둘째, 1785년 을사년 봄에 형조의 관헌이 명례방의 김범우 집을 덮쳐서 천주교 신자들을 적발한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그 사건이 구체적으로 언제 있었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안정복의 자료에는 사위 권일신의 행보와 관련하여 중요한 단서가 남아 있다. 이를 통해서 이른바 을사년의 형조 적발 사건이 언제 벌어진 일이었는지를 해명하였다. 셋째, 1791년 신해년에 진산사건이 벌어져서 윤지충과 권상연이 처형되었다. 그 여파로 권일신 역시 목숨을 잃었다. 형조에 붙들려 가서 신문을 당한 뒤에 유배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는 풀려났다. 하지만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하고 말았다. 본고는 권일신이 사망한 구체적인 날짜가언제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 역시 안정복의 자료에 그 단서가 남아 있다. 물론 안정복은 사위 권일신이 죽기 반년 전에 먼저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안정복의 손자 안철중이 조부의 일기를 이어서 적었기 때문에 이 자료에 권일신의 죽음에 관한 정보가 들어 있다. 이런 역사적 사실들을 문헌 기록을 통해 해명하는 작업은 한국 천주교 역사 연구에서 가장 기초적인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작업의 정확성과 엄밀성이야말로 교회사학의 학문성을 심화하는 첩경이라고 본다. 본고는 안정복 자료, 특히 안정복 가문에서 전해오다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기탁되어 연구자료로 학계에 보급된 광주안씨 고문서,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안정복 일기, 아울러 ‘순암 안정복 선생 기념 사업회’가 주도하여 번역 간행한 안정복의 문집 등을 활용하여 초기 천주교 신자들의 동향과 관련한 몇 가지 기초적 사실들을 규명하였다


The study of Korean Catholic history should be based more on historical record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roduces private documents of An Jeongbok as an example of how important the discovery and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are. By exploring records of An Jeongbok, I tried to illuminate some basic facts regarding the founding history of Korean Catholicism. It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First, it is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Catholic community. In 1784 some Korean Catholics baptized in Hanyang gathered and established their own community. This was led by Lee Seunghoon, the first Korean baptized in Beijing; Lee Byeok, who was baptized by Lee Seunghoon; Jeong Yakjeon, Jeong Yakyong, and Kwon Ilshin, who were baptized and studied the doctrine by Lee Byeok’s persuasion. This study looked into how all this unfolded. Second, it concerns the incident of the spring of 1785, in which officials of the Ministry of Punishments conducted a raid on Kim Bumwoo’s house in Seoul and arrested Catholic believers there. But it was not known when the incident happened exactly. This paper looked into the diary of An Jeongbok, which offers a clue to the question as it contains information on Kwon Ilshin, An’s sonin-law. Then, based on this information, this paper estimated the exact date of the 1785 raid. Third, it is about the Jinsan incident of 1791, as a result of which Yoon Jichung and Kwon Sangyeon, a cousin of Yoon, were executed. Kwon Ilshin, the son-inlaw of An Jeongbok was released from prison after being sentenced to exile but he died from aftereffects of torture he had received in prison. This paper identified the exact date of Kwon Ilshin’s death, which was the 19th day of the 12th month of 1791. I could find information on his death in An Jeongbok’s diary which Ah Chuljung, the grandson of An Jeongbok, continued to keep following his grandfa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