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많은 선행연구들은 그동안 투자효율성을 결정짓는 요소들을 발견하는데 주력해 왔다. 반면에 투자효율성이 소유지배괴리도에 기인한 지배주주와 외부 주주 간의 대리인 문제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간과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유지배괴리도와 투자효율성 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이해관계자들에게 소유지배괴리도에 따른 정보비대칭이 투자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증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분석결과에서 소유지배괴리도와 투자효율성 간에는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관련성은 내생성을 통제한 후에도 같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유지배괴리도가 커질수록 정보비대칭 심화에 따른 대리인 비용 발생으로 투자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더 나아가 소유지배괴리도가 커질수록 과잉투자와 과소투자가 대칭적으로(asymmetric) 발생하지 않고 과소투자보다 과잉투자가 더 지배적이었다. 한편 소유지배괴리도가 낮은 구간과 높은 구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소유지배괴리도와 투자비효율성 간에 음(-)의 관련성이 존재하였다. 반면에 중간 구간에서는 소유지배괴리도와 투자비효율성 간에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유지배괴리도와 투자효율성 간에는 잠재적인 비선형적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While much research has continued to concentrate on finding the determinants of investment efficiency, it has been neglected that investment efficiency may depend on agency problems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external stakeholders caused by ownership-control dispa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akeholders with evidence that information asymmetries caused by ownership-control disparity can depreciate investment efficienc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control disparity and investment efficiency. From analyses,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control disparity and investment efficiency, with this relationship remained unchanged after controlling endogeneity between them. These results show that as ownership-control disparity increases, agency costs produced by deepened information asymmetries lower investment efficiency. Moreover, as ownership-control disparity increases, over investment is not asymmetry to under investment and that is more dominant than under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at the low and high levels of ownership-control disparity,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control disparity and investment efficiency are insignificant statistically, this relationship is negative. At the middle level of ownership-control disparity, it appear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suggesting that there is potential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m.